-
-
조서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4
J.M.G. 르 클레지오 지음, 김윤진 옮김 / 민음사 / 2001년 10월
평점 :
힘든 시기에 어려운 책 읽었다. 350 페이지의 책을 열흘 동안 잡았다. 손이 안 갔다는 얘기다. (솔직히 이 글도 그리 손이 안 간다.) 이 책을 읽기 전, 같은 작가의 ‘아프리카인’을 먼저 읽을 땐 거친 땅의 사람 온기 같은 것들이 느껴졌는데, ‘조서’는 달랐다. 서러운 드라마 보고, 혼자 소주 까고, 헤어진 옛 연인 생각하면서 극단의 극단으로 치달아, 마침내 신도 모르는 궁극의 카타르시스적인 슬픔과 고민에 빠지고자 그렇게 책장을 넘겼나 보다.
프랑스 작가에 데인 적이 있다. 멋모르는 고삐리때, 담임이 추천도서랍시고 교실 뒷벽에 쫘악 200여권의 책목록을 붙인 적이 있다. ‘이건 뭐야~?!(김구라 말투)’라고 본 게 사르트르의 ‘구토’. 어떻게 도서관에서 빌려 누런 종이 넘겨가면서, 정말 구토날 정도로 어렵게 보던 기억. 뭐 여차여차해서 ‘실존’이란 낯선 단어를 2%도 안 되게 이해했던 고삐리 시절.
세상 만사가 모두 행복한 게 아니고, 슬픈 것들을 다루다가, 그 슬픈 것의 끝이 어디인가 파고 드는데, 인간 때문에 슬픈 일이 있고, 그 인간이 어떻게 살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다루고 싶은 사람들이 생겼다. 왜 자신이 살아 밥을 먹고 글을 읽고 책을 봐야하는지에 대한 가치의 물음, 그 물음의 해답을 찾다보니 실(實)제 존(存)재 하는 인간이 좀 더 주제적으로 생명을 유지해야 하지 않겠냐고, 묻고 감히 요구하는 사람이 ’르 끌레지오‘다.
그래서 ‘조서(調書)’를 쓴다. 주인공인 ‘아담 폴로’가 정신병자인지 탈영병인지 며느리도 작가도 모른다. 하는 짓이 괴이하기도, 쓸모 있어 보이기도, 용기 없어 보이기도, 용맹하게 보이기도 제정신인 것 같기도 하다가 실어증에 걸린다.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작품 해설에 따르면, 태초의 인간으로 돌아간 거란다. 서구 문명과 전쟁은 작가에게 ‘괴물’과도 같아서 실존적 인간과 타협할 수 없는 지경까지 왔으니, 언어를 몰랐던 태초의 인류나 혹은 식물(植物)로까지 회귀해 주인공은 말을 하지 않게 된다는 얘기다. 1963년에 조서가 쓰였으니, 이 말이 맞는다면 작가의 통찰력이 대단한 거고, 이 말이 틀리다면 주인공인 아담 폴로는 그냥 ‘겁쟁이’일 줄 모른다.
그런데 겁쟁이면 어떨까.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듯 자신을 짓밟는 일상에서, 자신을 이해 못하는 사람들에게서 ‘말없이’ 그냥 떠난 것이다. 겁쟁이인 게 오히려 솔직하고 빠르다. 사람들의 편견 가득한 시선과 말 속에, 한 인간으로서의 진정성과 자아가 짓밟힐 일을 계속 바라볼 수 없을 테니깐. ‘너무도 많이 세상을 보다 보니 세상이 그의 눈에서 완벽하게 벗어나 버렸다.(p.95)'처럼 말이다. 차라리 내가 먼저 벗어나, 존재의 다른 이유를 찾으면 서로가 속 편한 일이 될 수 있으니깐.
주인공이 얼마나 겁쟁이라서 말까지 잃었는지, 이 책을 읽으신 분들의 시각은 다를 수도 있다. 그러나 칠십 평생, 많은 사람 만나고 공부하면서 살아도 끝끝내 얻지 못하는 게 객관․ 합리․ 중립 따위가 아닐까. 그냥 세상에는 별의별 사람이 많고, ‘조서’의 주인공 아담 폴로 같은 사람도 있다는 ‘아량’ 정도를, 서로가 이해해주길 작가는 간곡히 바란 것 같다. 그런 아량이라도 있어야 인간이 ‘실존(existence)’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