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자전쟁 - 불륜, 성적 갈등, 침실의 각축전
로빈 베이커 지음, 이민아 옮김 / 이학사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도 제목이지만 내용도 내용이다. 노골적인 형용사와 부사를 제외한 성행위 장면 묘사는 세미세미한 포르노그라피를 연상시킨다. 큰 흥분(?)없이 책장을 넘기면, 저자인 로빈 베이커가 생물학자다운 시각으로, 왜 인간이 이런 행동을 하는지 찬찬히 설명해준다. 태고적부터 인간의 유전자에 각인된 종족 보존의 욕구, 우성 유전자를 쟁취하기 위한 치열한 사투, 그리고 그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세밀하게 설계된 인간의 정자와 난자. 이 모든 것이 인간의 섹스, 불륜 등을 설명해준다. 영화나 소설에서 그냥 ‘짜릿함’ 정도의 이유로 언급되던 인간의 외도가 결국은 생물학적인 종족 보존의 본능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부부관계 중 태어나는 아이의 10%가 외도의 결과라는 주장은, 그래서 더 충격적이다.
 
  사람들은 모두 각자의 관점, 즉 일종의 ‘계(界)’로 세상을 본다. 저자는 생물학자답게 생물학적 관점으로 정자전쟁을 설명했다. 하지만, 조그만 다른 ‘계’로 이 정자전쟁을 본다면, 실제로 정자전쟁은 없다.
  먼저, 재력있고 몸이 건강한 남자에게 여자가 유혹되는 것은 이 책에서 쉽게 설명된다. 여자의 자손을 안정적인 환경에서 키우고 싶은 본능 때문이다. 이건 지금 우리에게도 어느 정도 통하는 코드다. 하지만, 재력가와 결혼하고 나서도 애를 낳을 생각이 없는 여자도 있고, 재력이나 건강 외에 다른 기준이 여자를 유혹하기도 한다. 남자가 형편없이 가난하고 키도 작지만, 로맨틱하다거나 똑똑한 면이 있어 여자의 선택을 받을 수도 있다. 감수성이나 지능의 발달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선사시대부터 이어진 본능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하는 것이라면, 앞으로 로맨스 영화에선 키작고 못생긴 애들인 프로포즈하거나 프로포즈받는 일이 절대 없어야 한다. 그 순간 공상과학영화가 돼 버리니깐.
 
  장면 묘사와 연관된 설명도 문제가 많다. 언뜻 보면 인간의 기묘한 바람기가 설명되는 듯도 하지만, 결정적으로 저자가 취사선택한 상황이라는 점에서 그 한계가 명확하다. 방법론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말로 설명을 위해 인위적으로 상황을 조작했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물론 책에 묘사된 상황은 현실에서도 얼마든지 벌어질 수 있다. 하지만 말 그대로 존재(is)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성(may)만 있을 뿐이다. 인간이 우성 유전자를 찾아 평생 황홀하게 방황하는 존재라면, 시골에서 평생 백년해로하는 부부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비행기를 타고 다른 여자와 출장 갈 기회가 없어서? 집 앞에 잔디가 없어 건장한 정원사를 고용하고 유혹할 기회가 없어서?
 
   마지막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내내 불편했던 전제가 있다. 인간이 자신의 유전자와 동일한 자손을 무수하게 많이 만들고 싶어하는, 어떤 탐욕적인 존재로 묘사된 전제가 마음에 걸렸다. 특히 남자의 경우 어디서나 총알을 난사하는 본능을 가진 것처럼 설명되곤 하는데, 이는 확실히 잘못된 전제이다. 그건 여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적어도 로빈 베이커의 전제가 맞는다면, (세계 4위의 과밀국가이긴 하지만) 우리 나라에선 출산율 저하를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자손을 남기고자 하는 건 인간의 본능이니깐. 이와 대비되는 끔찍한 통계가 있다. 국내 모 자동차 회사의 직원들 출산율을 조사해보니, 정규직의 경우 평균 1명이 넘지만 비정규직의 경우 0.8명 정도에 머무른다는 것이다. 반대로 프랑스의 경우 동거혼을 합법화했더니 출산율이 급격히 상승했다. 또한 결혼을 하지 않고 골드미스로 살아가는 여자나, 매월 적자가 나는 잡지 발행을 위해 평생 혼자 사는 남자도 있다. 홍콩이나 싱가포르에는 과도한 회사일 때문에 섹스리스(sexless)로 사는 부부들도 많다. 이들의 유전자는 '평생 순결의 여신'이 내려준 것인가?
  
  결국 인간의 자손에 대한 욕심은 생물학적 시각을 넘어 체제나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우리 주변에서 자본주의적인 제약이나, 전쟁 후의 불안과 같은 정치사회적 요인이 인간의 자손 번영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끼치는 사례를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생물학적 관점 외에 다양한 변인이 인간의 성생활에 존재하는 것이다.
 
  정치적으로 올바른 시각이 아니겠지만, 인간의 외도가 생물학적이나 사회적으로 충분히 이해는 간다. 평생 한 식당에서 된장찌개만 먹고 살아야 한다면 지겨울 것이다. 그래서 가끔 외식도 하고, 최고 좋은 외식 메뉴로 뷔페 코스가 인기를 끌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은 또한 상황 판단이 냉철한 동물이다. 이성이 있어 미래를 내다본다. 뷔페를 먹고 싶지만, 당장 내일 차비와 커피값이 걱정돼서 안 먹는다. 그런 걱정을 하지 않기 위해선 일부러 된장찌개만 (좀 끔찍하지만) 평생 먹을 줄도 안다. 앞으로 다가올 위험과 곤란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온 세상이 우성 유전자를 찾아 다부다처제로 넘치지 않고, 그나마 대부분 일부일처제로 유지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더군다나 ‘인생은 한 사람을 사랑하기에도 짧다.’는 말에 깊게 공감하는 나에게, 결국 정자전쟁은 법칙도 경향도 될 수 없다. 정자전쟁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