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그렇게 공부들 잘하고 외국물까지 먹은 경제학자들은,
적어도 이번 금융위기와 관련해 '꿀 먹은 벙어리'였음이 틀림없다. 

학문하는 사람 입장에선 분석도 중요하지만
전망과 예측을 통해 위기를 막아내는 게 사회적 역할인데 그걸 방기했다.

장하준 교수는 루비니 교수처럼 금융위기를 예측한 사람은 아니지만,
이번 책에서는 금융 위기에 대해 정직하게 경제학자들의 한계를 토로했다.
불편한 진실을 까발리는 '정직한 경제학 전도사'쯤 되시겠다.

전작인 '사다리 걷어차기', '나쁜 사마리안인들' 모두
'자유시장으로 부자가 된 나라는 거의 없다(thing 7)'는 사실이 핵심이다. 
국가와 시장이 착종된 자본주의로 성장한 선진 국가들은
개발도상국들이 이를 따라오는 걸 막기 위해 '자유시장'이란 복음을 전파하는 데
이게 위선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전작과 비교해 일견 새로울 건 없는 내용일 수 있다. 그래도 우리 경제가 나아갈
방향에 대한 지침은 명확하다. 좀 더 큰 정부로 복지를 늘리고 인적 자원 투자가 많아지고
소득 불평등이 완화되는 것. 현 정부와는 대척점에 서 있으니 장하준 교수는 '좌파'딱지가 곧 붙겠다.

교훈은 두 가지로 정리하고 싶다. '있는 그대로 보자'가 첫째다.
사실 3개 신문에서 좌파로 매도된 DJ때부터 한국사회 양극화가 시작됐고
역시 좌파 낙인이 붙은 참여정부 때는 한미FTA, 한나라당 대연정 등이 추진됐다.
오히려 가장 시장친화적일 것 같은 MB는 국가 재정을 풀어 금융위기를
극복하려는 '박정희식' 방법을 추진했다. (문제는 정치도 '박정희식'이란 거다.) 

둘째, 책 간간히 느껴지는 '부족의 철학'이다. 자기가 다 안다고 하는 사람은
오만에 빠져 언젠가 실수를 하게 마련이다. 오히려 부족하다고 생각하다는 사람은
끊임없이 배우고 노력하기에 실수를 덜 하는 것 같다. 

경제학자는 물론 뉴욕 월가 금융전문가들 스스로 한 인간으로서 복잡한 '금융계'를
이해하는데 명확한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 '다 잘되고 있다'는 맹신을 기반으로
모래성을 쌓으면서 명성을 얻고 돈을 벌었다.

물론 음악은 꺼졌고 파티도 끝났다. 이제 정신 차리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