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주례사 -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남녀 마음 이야기
법륜스님 지음, 김점선 그림 / 휴(休)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야자 때 옆친구가 법정의 '무소유'를 읽더니 대뜸 눈물을 흘린 적이 있다.
짧은 머리에 동그란 얼굴, 여드름이 뽀송한 얼굴에 환한 미소로 눈물 두 줄기가 흐르는데
영락없는 부처님 상이었다.

웃는 눈물을 흘리던 녀석은
옆 친구에게 셔터칼을 빌리더니
입고 있던 체육복 주머니 안에 구멍을 내기 시작했다.

"나 이제 무소유로 산다"

별 미친놈 다보겠다고 했을지 모르지만, 눈물이 너무 진지했다.
'불교의 불'자도 모르는 사람이 봐도 "앗, 저것은 해탈의 미소?"라고 할 만 했다.

야자가 끝난 10시, 녀석은 차비가 없다며 나에게 1000원을 빌렸다가
체육복 주머니 속에 넣고 그대로 잃어버렸다. 집까지 터벅터벅 걸어갔다며
다음 날 짜증을 내는 녀석은, 다시 부처에서 속인이 돼 있었다,
(물론 구멍난 체육복 바지도 다시 알뜰하게 꿰맸다)

아무튼 스님들 책은 치명적이다.
있는 듯 없는 듯, 되든 말든, 내가 하든 남이 하든
정글같은 무한 자본주의, 이기심으로 똘똘 뭉친 한국 사회에 울림을 준다.

"결혼도 안 한 사람의 얘기다" "나도 절에 가면 그런 얘기할 수 있겠다"고
저평가되기도 했었다. 바람핀 배우자를 쉽게 용서하는 부분에선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결혼을 앞두고
재고 따지고 헤아리고 계산하고 배경을 먼저 보는 세태에
'스님의 주례사'는 무릎을 탁탁 치게 만드는 구절이 참 많다.

인상적인 구절이 참 많은데 하나만 옮긴다.

"돈이 없어서 돈 있는 남자를 구하고,
외로워서 위로해 줄 사람을 구합니다.
이건 지극한 이기심에서 시작된 관계입니다....

내가 상대를 재게 되면 그 사람 역시 (나를) 재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