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나지 않음, 형사
찬호께이 지음, 강초아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찬호께이,《기억나지 않음, 형사(The Man Who Sold the World)》, 한스미디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앓는 형사가 살인사건이 발생한 2003년부터 현재(2009년)까지의 기억을 문자 그대로 잃어버렸다. 부부와 뱃속의 태아까지 3명의 일가족이 무참히 살해된 사건은 이미 종결된 지 한참이다. ‘쉬유이’ 형사는 위 사건을 영화화하는 소식을 듣고 이를 취재하는 ‘아친’ 기자와 위 사건을 되짚어나간다.


전반부까지 일반적인 추리소설의 스토리를 충실히 따른다. 이 소설의 푼크툼(punctum)은 데이비드 보위의 음반과 노래(세계를 팔아넘긴 사나이(The Man Who Sold The World))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이다. 보위의 노래는 진범의 추리과정에서 단서를 제공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는 이 소설의 중심 소재이자 후반부의 반전의 반전의 반전의 근거다.


기억나지 않음. 사람들은 망각을 괴로워한다. 나이가 들수록 예전에는 또렷이 기억나던 것들이 기억나지 않을 때가 많다. 반대로 수십 년 전의 기억은 또렷한데 어제 있었던 일은 기억나지 않을 때도 있다. 그런데 더 무서운 것은 기억할 대상, 망각의 대상 자체가 없는 상황이라는 생각이 든다. 기억 자체를, 망각 자체를 망각하는 상황이 두렵다.



* 메모


- 전문가들은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에 네 가지 단계가 있다고 한다. 과민반응, 감정의 회피, 충격의 재경험, 그리고 회복이다. 138쪽




지난주에 홍콩섬 웨스턴 서덜랜드가에 있는 둥청아파트 3층에서 섬뜩한 살인사건이 발생했다. 부부가 칼에 찔려 사망했는데, 아내는 심지어 임신 중이었다. 남편 정위안다(鄭元達)는 키가 작고 통통한 체형이며 작은 무역회사에서 한 부서의 책임자로 일했다. 아내인 뤼슈란은 정위안다보다 몇 살 어린데, 결혼한 뒤 말단 창구직원으로 일하던 은행을 그만두었다. 네 살 난 딸을 돌보면서 새로 태어날 아기를 만날 날을 기다리고 있었다. 18-19쪽


- 지금 이런 감각을 ‘미시감’이라고 하는 거겠지? 낯선 사물을 익숙하게 느끼는 ‘기시감’과 반대로 미시감은 익숙한 사물에 대해 낯선 감각을 느낀다. 이상한 것은, 낯설긴 한데 또 한편 완전히 낯선 느낌은 아니라는 점이다. 마치 기시감과 미시감을 동시에 느끼는 것 같다. 27쪽



- “난 린젠성이 진범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겠다는 게 아닙니다. 그냥 사건에 어떤 의문점이 있으니 확실하게 하고 싶은 거예요. (중략)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단기적인 기억상실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내 주치의가 한 말입니다. 단기적이라는 건 몇 시간 정도 짧은 기간의 기억을 잃어버린다는 뜻이 아니라 기억상실 상태가 이어지는 기간이 짧다는 뜻입니다. 나는 기억을 잃은 지 세 시간밖에 안 됐지만, 금방이라도 기억이 돌아올지 몰라요.” 8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