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테스
파스칼 키냐르 지음, 송의경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스칼 키냐르, 부테스(Boutès), 문학과지성사



1. 내 머릿속이 거친 풍랑을 만나 전두엽이 흔들릴 때, 관자놀이에서 맥박이 뛰며 춤을 출 때에 바흐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헤밍웨이가 글을 쓸 때 자주 들었다던 멘델스존의 무언가(無言歌),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를 들으면 뇌의 멀미가 조금 잦아든다. 말과 활자와 잡념들이 뇌 속을 버무리기 전에 나는 공중에 울려 퍼진 소리의 물침대에 몸을 맡긴다. 나만의 생존수영이다.


2. 황금 양털을 찾아 떠난 아르고호의 일원이었던 ‘부테스’는 세이렌의 노래를 듣고 바다에 뛰어들어 익사했다. ‘부테스’는 다이버의 원형이다. 오디세우스나 오르페우스와 달리 기꺼이 ‘가지 않을 수 없었을 곳’으로 떠난 자. 욕망에 가장 충실했던 자다.


파멸로 이끈 세이렌의 노래, 정확히 음악에 대해 키냐르는 ‘물로 뛰어드는 욕망’(29쪽)이라고 했다. 뱃속의 양수에서 놀다가 듣던 산모가 내뱉는 말을 듣는 데서부터 시작된 음악에 대한 반응은 본능적이다. 음악에 맞춰 몸을 흔들고 춤을 추는 것이 현대로 오면서 ‘앉아서 연주’하고 ‘앉아서 청취’하는 음악으로 변질되었다고 안타까워한다.


3. 이 책은 오디세우스나 오르페우스에 비해 주목받지 못했던 부테스를 소환해 음악의 본질에 관해 서술한다. 시초, 옛날, 근원에 대해 장르를 넘나들며 서술하는 키냐르식의 간결한 문체는 읽는 맛을 더해준다. 음악을 ‘감상(당)하는’ 단순 청자의 지위에서 벗어나 내 속에 내재되어 있을 것 같은 움직임(춤)에 대한 본능을 찾아봐야겠다.





* 메모




* 메모


- 물 속의 삶과 대기권의 삶은 출생하면서 분리된다. 애벌레(거의 물고기)의 삶과 나비(거의 새)의 삶. 거의 물고기, 거의 새: 이것이 바로 부테스의 모습이고 세이렌들의 모습이다. 36쪽



- 세 가지 주석 59쪽

1) 시간은 돌이킬 수 없다.(하지만 모든 죽음이 먹히는 것이라는 의미에서는 돌이킬 수 있다. 즉 죽음으로 파괴된 것을 섭취함으로써 가능하다. 육식동물의 경우에 실은 죽음이 유일한 영양분이다.)

2) 돌이킬 수 없는 운동에는 방향성이 없다.(단지 가지 못했을 수도 있는 곳에 이제는 도달하지 않을 수 없을 뿐이다.)

3) 기원은 시간 내에서 이어진다.(옛날의 돌이킬 수 없는 특성이 지금이라는 모든 순간의 만회 불가능의 토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