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별의 능력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336
김행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7월
평점 :
1. 빌려주면 돌려받을 수 없는 것들을 사랑한다. 이를테면 친구가 입고 간 속옷이나 시험기간에 사라진 이름을 크게 적어놓은 교과서 같은. 점유하고 있어도 취득할 수 없는 것이 사랑, 점유하고 있지 않아도 소유할 수 있는 것도 사랑. 사랑은 특정 공간에 형체를 갖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으로 호흡을 하는 것처럼 부유하는 존재 같다.
한 사람은 기름진 닭다리와 날개를 좋아하고 다른 이는 퍽퍽한 가슴살이나 목을 좋아해서 온전히 치킨 한 마리를 사이좋게 나누어 먹었으면 좋겠다는 생각. 나는 당신의 편이었기에 당신이 편했다는 생각. 당신의 주장과 변론은 유려하고 빈틈없었다는 생각. 내 이름 두 글자 사이에 당신을 꼭 닮은 중간 이름이 있었을 것 같은 생각.
내가 권리 위에서 잠을 자는 동안에도 이런 기억의 소멸시효는 진행 중. 시간이 지날수록 권리라고 생각했던 것이 채무까지는 아니라도 나의 책무였다는 생각으로 뒤틀리고. 처음에는 부인하다가 나중에는 어쩔 수 없었다는 항변으로 모습을 바꾼다.
아무리 기다려도 당신이 오지 않을 때, 텅 빈 우편함에 자꾸 손을 집어넣게 되고 불이 나지 않았는데도 자꾸 소화전을 열어본다. 나는 비겁하게도 나의 주소를 적지 않았다.
발이 미운 남자들이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나의 무용수들. 나의 자랑.// 발끝에 에너지를 모으고 있었다. 나는 기도할 때 그들의 힘줄을 떠올린다.// 그들은 길다. 쓰러질 때 손은 발에서 가장 멀리 있었다.
이곳에서 발이 녹는다/ 무릎이 없어지고, 나는 이곳에서 영원히 일어나고 싶지 않다// 괜찮아요, 작은 목소리는 더 작은 목소리가 되어/ 우리는 함께 희미해진다// 고마워요, 그 둥근 입술과 함께/ 작별인사를 위해 무늬를 만들었던 몇 가지의 손짓과/ 안녕, 하고 말하는 순간부터 투명해지는 한쪽 귀와// 수평선처럼 누워있는 세계에서/ 검은 돌고래가 솟구쳐오를 때// 무릎이 반짝일 때/ 우리는 양팔을 벌리고 한없이 다가간다
나는 기체의 형상을 하는 것들./ 나는 2분간 담배연기. 3분간 수증기. 당신의 폐로 흘러가는 산소/ 기쁜 마음으로 당신을 태울 거야./ 당신 머리에서 연기가 피어오르는데, 알고 있었니?/ 당신이 혐오하는 비계가 부드럽게 타고 있는데/ 내장이 연통이 되는데/ 피가 끓고/ 세상의 모든 새들이 모든 안개를 거느리고 이민을 떠나는데// (···)// 당신 머리에서 폭발한 것들을 사랑해./ 새들이 큰 소리로 우는 아이들을 물고 갔어. 하염없이 빨래를 하다가 알게 돼./ 내 외투가 기체가 되었어./ (···)// (···)
하룻밤만 재워줘. 밤은 충분히 길고, 너무 큰 가방은 언제나 이야기보따리지. 머나먼 친척 아주머니는 19세기 나그네처럼 오늘 밤에도 문을 두드려.// (···)// 그렇다면 얘야, 마구간이라도 괜찮단다. 말은 이야기를 실어 나르는 동물이잖니. 우리들의 머나먼 할아버지가 말 위에서 굴러 떨어져 죽어갈 떄, 그는 비밀을 품고 있었단다. 그가 하룻밤을 더 달렸다면 이야기는 조금 달라졌을 테지// (···)// 하룻밤은 눈을 감았다 뜨는 사이에 지나가버린단다. 그렇지만 얘야, 영원히 눈을 감는다면 하룻밤은 계속해서 흐르지. 머나먼 친척 아주머니의 미소와 함께.
오늘 밤에도 사건 속으로 수많은 아이들이 빨려들어 오고 노인들이 갑자기 창문 밖으로 뛰어내립니다.// 그리고 만두피 속으로 사라진 사람들. 심장을 얼리기 위해 냉동실로 걸어간 사람들도 만두의 형식을 취했습니다.// (···)// 우리는 아픔 없이 잘게 부서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잘 섞일 수 있습니다. 만두의 세계는 무궁무진합니다. 측량할 수 없는 별빛.// 그리고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자석들이 요리의 세계로 사람들을 끌어당깁니다. (···)// 썩은 과일은 술이 됩니다. 우리는 만두가 됩니다. 끓는 물에 둥둥 떠오를 수 있습니다. 환하게 터질 수도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