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의 자서전 ㅣ 틂 창작문고 1
김혜순 지음 / 문학실험실 / 2016년 5월
평점 :
김혜순 시집, 죽음의 자서전, 문학실험실, 2016
1. 죽음이 죽음으로 죽음을 위해 49편의 시를 남겼다. ‘죽음의 자서전’을 써 내려가는 주체는 죽음, 주제도 죽음, 주된 독자도 죽음이다. 김혜순 시인 특유의 반복을 통한 리듬감과 어디로 뻗어 나갈지 모르는 비유는 시인이 수평선 너머 또는 아래에 잠긴 영(靈)들을 불러들인다. 2014년 4월 이후로 죽음과 물의 이미지는 ‘세월호’라는 체를 통과해야만 한다. 하늘처럼 성기지만 넓어서 어느 것 하나 새어나갈 수 없는 그물에 걸려 바동거리는 영(靈)을 위한 진혼곡.
벽걸이 텔레비전 화면엔 젖꼭지 여덟 개 어미 돼지가 아홉 번째 새끼의 뇌수를 먹어치우는 장면.// 죽기 전부터 고아인 죽음이 탄생하는 장면.// 너는 이제 사각형 원피스에 몸이 딱 맞는구나.
묘지의 초록색 모자마다 웃는 얼굴들이 들어 있다
“이불 속에는 푸른 옷을 입구 착검한 총을 든 군인들의 행렬”
“부러진 팔의 깁스 속에는 군인의 고함들이 살아요”
119에 전화를 걸다 말고 바라본 마루 위의 네 발가락 자국
눈 내린 것처럼 쌓인 하얀 설탕 위 네다섯 개의 발가락 동그라미들
그 주위를 맴도는 새끼 노루 한 마리를 둘러싼
발가락 자국들, 아 에 이 오 우 다섯 모음으로 발음되는
가는 빗줄기 살랑 묶어 촉촉한 리본 만들어 네 젖꼭지에 꽂아주는 바람이 왔네
“어려서 죽어서 너보다 어린언니가 아랫배를 꼬집는 가냘픈 손톱”
“초록손톱 똑똑 분질러버리는 귀신아, 나보다 한 발짝 먼저 온 봄아”
“갈비뼈 우린 거친 국물 오르내리는 몸속 그 뼈가 너를 싣고 다니는 관이네”
“아직 안 떠나고 뭐하니 아침마다 철썩 네 뺨을 갈기며 물어보는 저 하늘 저 시퍼런 핏줄”
“입가에 피 묻은 새처럼 우짖는 저 꽃들 피 묻은 이빨 퉤퉤 뱉네 자꾸만 뱉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