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 손철주의 음악이 있는 옛 그림 강의
손철주 지음 / 김영사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철주, 흥(興)(손철주의 음악이 있는 옛 그림 강의), 김영사, 2016


1. 기자출신 미술평론가인 저자의 테마 강연을 채록하고 묶은 책이다.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 '그림 보는 만큼 보인다' '사람보는 눈' 에세이 '꽃 피는 삶에 홀리다'까지 여러 권을 보았고 만족했기에 신작도 주저 없이 구매했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시리즈' '책은 도끼다 시리즈' '더 클래식(경향신문 문학수 기자가 쓴 클래식 책) 시리즈' 처럼 검증된 저자가 쓴 책을 몇 권을 읽어보면 일관된 가치관과 문체가 익숙해지기 때문에 과외선생님처럼 느껴진다. 강연의 형식을 띈 책이라면 내가 그 장소에 있는 느낌도 든다.



주제는 크게 은일(숨어 살기와 혼자 이루기), 아집(雅集)(더불어 즐김을 나누다), 풍류(서로 기쁜 우리들) 3부 구성에 총 6강이다. 혜원 신윤복, 단원 김홍도, 최북, 강세황, 김득신 등 조선 최고의 화가들의 그림들이 두루 소개되고 있는데, 부제에서 밝혔듯 공식적, 비공식적인 행사나 모임, 유흥의 장소에서 음악이 연주되는 작품들을 해설하고 강론한다. 작품에 씌여진 글씨에 대한 해설은 물론이고, 배경과 관련 문헌까지 언급하고 있어서 내용이 풍부했다.



혼자 있으면 외롭고, 사람이 그립고 한편 사람에 치여 살거나 상처받으면 혼자 있고 싶은 것이 인지상정이다. 도시에 살며 하루하루 반복된 생활에 자존감을 잃어간다는 느낌이 들 때 훌쩍 먼 곳으로 떠나고 싶지만, 막상 떠나면 또 집이 그립고 사람이 그립다. '은일' 속에 '아집(雅集)' 있고 '아집(雅集)' 속에도 분명 '은일'이 있다. 아집과 은일의 틈을 비집고 찾아오는 '풍류'를 발견하고, 스스로 발명해보려는 안간힘, 애씀이 아집(我執)을 항복시키고 행복으로 가는 길이라고 생각한다.



2. 메모

- 박제가, 〈어락〉
그대는 알면서 나에게 물었다, 나는 그것을 물가에서 알았노라.
(知之而問我 我知之濠上也)
: 내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어떻게 알았는가, 물가에 나와서 물고기가 노는 걸 보고 알았다, 이 말이 박제가의 눈에는 그야말로 실학의 가장 중요한 격물치지(格物致知)를 이루는 것으로 보였을지도 모릅니다. 102쪽


- 네가 나를 알아주길 바라는 게 소통이 아니라, 내가 너를 알 수 없는 것을 걱정하는 것이 곧 소통 1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