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 성동혁 시집 민음의 시 204
성동혁 지음 / 민음사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성동혁 시집, 6, 민음사, 2014
#성동혁



1. 이 시집의 첫 번째 시와 마지막 시의 제목이 「쌍둥이」다. 영어로는 twins. 부모님을 뜻하는 parents처럼 복수를 써야 쌍둥이 모두를 지칭하게 된다. ‘s’를 빼면 쌍둥이 중 한명을 가리킨다. 탄생부터 나와 다른 무엇을 전제하는 존재. 내가 있어야 그가 있고 우리가 있다.



‘6’의 쌍둥이는 ‘9’다. 같은 이치로 ‘OK'의 쌍둥이는 ‘돈'(엄지와 검지를 동그랗게 말고 나머지 세 손가락을 위로 세우면 전자, 아래로 떨어뜨리면 후자). ’6‘에 대해 조금 더 연상해 보자. 육손이는 다지증의 일종인데 대개 엄지 두 개가 한쪽 손에만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새끼발가락이 2개인 경우도 있다.



육손이의 쌍둥이는 한 손가락이 없는 사람이 아니다. 곰배팔이(팔이 꼬부라져 붙어 펴지 못하거나 팔뚝이 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애꾸눈이, 절뚝발이, 딸깍발이, 절름발이 같은 ‘외돌토리들’이다. 동서남북상하 ‘육합(六合)’을 보아도 내 편이 없을 것 같은 그들에게 오감에 대한 욕구를 넘어 ‘생각하는 욕망’의 끄트머리, 지푸라기라도 되어주고 쌍둥이의 마음.




2. 시인은 세심하고 섬세한 시선으로 사물을 바라본다. 묘사보다는 서사와 대화로 말하고자 하는 바를 풀어간다는 느낌을 받았다. 종교적인 시어가 많다. 시집 초반보다 2부, 3부의 시들이 좋았다.




- 나의 투우사 46-47쪽
- 식사기도

누가 나의 투우사에게 소를 풀었나

붉은 헝겊을 걸치고 복사뼈를 땅에 묻고
움직이지 않는 나의 투우사

사람들이 발등에 망치질을 한다
저녁이 온다
소가 온다!

나를 이를 악물고 식탁보를 뺀다
저녁이 온다고
소가 온다고!

저녁은 눈두덩 위로 떨어지는 유황 가루인가
아니면 무릎 위로 떨어지는 붉은 스프인가

궁창을 찌르는 철탑
뿔이 관통한 그의 손바닥에서 빛이 터져 나온다

검지를 관자놀이에 붙이고 투우사의 구멍 안으로 달려

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