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을 끓이며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훈, 라면을 끓이며, 문학동네




1. 어제 저녁 라면을 먹었다. 물을 약 550ml 넣고 끓인다. 막 연기가 날 때쯤 스프를 넣는다. 스프나 건더기를 넣고 물을 끓이면 끓는점이 낮아진다는 말을 어디서 들은 것 같다. 곧 내가 배가 무지 고프다는 말이다. 면을 넣고 계란을 넣는다. 계란은 국물에 퍼지지 않고 온전하게 모양을 유지하도록 주의한다. 나의 라면 조리법이다. 한창 운동을 열심히 할 땐 라면을 쳐다보지 않았는데, 최근에는 한 끼 때우려고 먹는다. 밥을 때우려고 먹는 라면은 밥이 아니기에 나는 밥과 꼭 같이 먹는다.





2. 2015년 하반기에 나온 소설가 김훈의 산문집, 이미 많은 분들이 읽었다. 알라딘에서 공격적 마케팅이 화제가 된 바로 그 ‘상품’이다. 쿡방과 쿡북의 유행은 올해도 계속되고 있다. 짐작건대 이 책의 편집자나 최근에 출간된 황석영의 ‘밥도둑’도 이런 행렬에 합류했다. 오래전에 출간된 책에 최근의 글을 보태어 리모델링을 보기 좋게 했다. 저자는 일러두기에서 “이 책의 출간으로 앞에 적은 세 권의 책과 거기에 남은 글들을 모두 버린다.”고 했지만 몇몇 글은 한옥에 살던 시골사람이 도심 아파트촌으로 이사해온 것처럼 불편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그래도 앞서거니 뒤서거니 던지고 받아치면서 삶과 죽음의 보편성 속에서 생명의 개별성과 존재이유를 기어코 찾아내고자 전진하는 특유의 문체는 변함없었다.





- 젊은이들이 다들 도시로 떠나고 섬에는 노인들만 남아 있다. 아기가 없는 섬에 유모차가 많다. 대처의 젊은 부부들은 아이가 걷기 시작하면 유모차를 버린다. 노인들은 젊은 부부들이 쓰다 버린 유모차를 섬으로 가져와서 걸음걸이할 때 의지로 삼는다. 밭일 나갈 때, 바지락 캐러 갈 때, 이웃에 마실 갈 때, 누가 온다고 기별이 와서 선착장에 마중 나갈 때, 노인들은 이 유모차에 기대어 조심조심 걸어간다. 집집마다 마당에 유모차들이 놓여 있다. 노인들은 갯벌 가장자리에 유모차를 세워놓고 뻘 안으로 들어가서 바지락을 캔다. ...... 손자가 자라서 유모차를 졸업하자 손자의 유모차를 밀고 다니는 노인도 있었다. 허리가 굽은 노인은 남성보다 여성 쪽이 훨씬 더 많다. 여자들은 생리, 출산, 하혈, 수유, 눈물로 피와 육즙을 모두 빨려서 그렇게 꼬부라진 것이라고, 젊어서 마누라 속 많이 썩인 늙은 어부가 말해주었다. 어부의 말은 의학적으로 타당하게 들렸다. 68쪽




- 세월호는 이 모든 원리와 인류의 축적된 경험을 거꾸로 했다. 그러니 어찌 살기를 바라겠는가. 갑판에 과적을 함으로써 무게중심을 위로 끌어올렸고, 배 밑창의 평형수를 빼버려서 배의 중심을 허깨비로 만들었다. 이것이 침몰의 원인인가. 이것은 원인이라기보다는 침몰 그 자체다. 이것이 침몰의 원인이라고 말하는 것은 배가 뒤집히니까 가라앉았다는 말과 같다. 이것은 동어반복이다. 163쪽





- 돈이 정치적 채널을 따라서 밀실로 들어갈 때는 이처럼 우아하고 세련된 외양을 갖춘다. 그 돈이 대통령의 직무와 관련이 있다는 혐의는 없다. 이 세련성이 직무 관련성을 제거한다. 그래서 직무와 관련이 없이 먹었다는 모든 떡값이 이 나라에서는 무죄로 통한다. 떡값이란 말은 돈의 모든 속성을 요약정리한 듯하다. 떡값은 직무와 관련이 없을 경우라 하더라도 반드시 직위와는 관련이 있다. 직무는 기능이며 직위는 신분이다. 직무는 용(用)이고 직위는 체(體)인 것이다. 190쪽



- 여자들의 젖가슴이란 그 주인인 각자의 것이고 그 애인의 것이기도 하지만, 신라금관이나 고려청자나 백제 금동향로보다 더 소중한 겨레의 보물이며 자랑거리다. 여자들은 누구나 다 한 쌍의 젖가슴을 키워내고 품고 있다. 그렇게 때문에 이 젖가슴은 더욱 보편적이고 소중한 일상의 보물이며, 민족적 생명과 에너지의 근본인 것이다. 희소가치가 없기 때문에 더욱 소중하다는 말이다. 더구나 그 속에 살아 있는 생명의 피가 흐르고 젖샘 꽈리에 젖이 고인다고 하니, 죽은 쇠붙이에 불과한 신라왕관과는 비교할 수 없다. 거리마다, 공원마다, 지하철마다 넘쳐나는 이 생명의 국보들은 새로운 삶을 향한 충동으로 우리를 설레게 하고 견딜 수 없는 것들을 견디게 해준다. 244쪽




- 내 생각은 이렇다. 여자 젖가슴의 모든 고난은 직립보행에서 비롯된 것이다. 네발로 기어다니는 포유류들의 젖은 아래로 늘어져서 편안하다. 이것이 무릇 모든 젖의 자연일 것이다. 두 발로 걷기 시작한 이후로, 여자들의 젖가슴은 어쩔 수 없이 전방을 향하게 됐다. 가엾은 일이다. 크고 무겁고 밀도가 높고 팽팽하고 늘어지지 않은 가슴만이 아름답다고, 남자나 여자나 모든 그렇게 세뇌돼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크고 무거운 것들은 아래로 늘어지게 돼 있다. 늘어지려는 것을 자꾸만 끌어올리니까 부작용이 생긴다. 생명이나 자연은 인간이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지 않아도 이미 스스로 본래 그러한 것처럼 아름답고 편안하다. 그러니 가슴이 좀 늘어지기로 무슨 걱정할 일이 있겠는가. 245-2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