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사람은 돌아오고 나는 거기 없었네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220
안상학 지음 / 실천문학사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상학 시집, ‘그 사람은 돌아오고 나는 거기 없었네’ 실천문학사
‪#‎안상학‬ ‪#‎그사람은돌아오고나는거기없었네‬

1. 안도현 시인의 트위터 글 모음집 '잡문'을 통해 이 시집을 알게 되었다. 
경북 안동출신 답게 시골의 일상과 풍경을 묘사하는 시도 있는 반면에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고민, 문명에 대한 비판의식을 담은 시도 많았다.
(팔레스타인 1,300인- 그들은 전사하지 않고 학살당했다. 47쪽, 평화라는 이름의 칼 51쪽)

- 발밑이라는 곳, 40-41쪽, 부분

내 발밑은 나만의 공간이다/ 중략 // 사람은 발밑을 밟으면서부터는 단독자다// 중략 // 발밑을 가진 적 없는 젖먹이와/ 발밑을 상실한 노인의 꼼지락거리는 발가락이 닮았다/ 발밑을 잠시 버리고서야 사랑을 나누는 연인들의 몸짓/ 발밑 없이 와서 발밑과 동행하다 발밑을 잃고서야 돌아가는 인생/ 때가 되면 발밑에 연연하지 않아야 될 때가 한 번은 오는 법이다// 후략

: 인간이 갓 태어나 기어다니다가 두 발로 걷기 시작하면서 두 손의 자유를 얻는다. 성인도 가끔 과도한 음주로 네 발도 걸을 때도 있지만. '나만의 공간'인 '발밑'에서 실존이 탄생한다. '발밑'을 잃는 순간은 살아도 죽은 것이다. 연인을 위해 서로가 발밑을 잠시 버리는 순간은 사랑하는 사이라면 찰나에 교환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엄밀히 발밑을 잃는 것은 아니다. 타자성의 인식을 통해 '우리'의 발밑을 만드는 과정이다. '발밑에 연연하지 않아야 될 때'란 탄생과 살아감 죽음의 과정이 결국 하나로 귀결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2. 서정적인 시나 존재를 다루는 시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읽어나가기만 해도 잔잔히 미소가 번지게 하는 시골의 일상과 유머가 담긴 시도 많다.

858-0808 56-57쪽 부분

권정생 선생 생전의 집 전화번호/ 콩팥이 안 좋아서 이마저 그런가 하며/팔어팔으 콩팥콩팥으로 외워둔 전화번호/돌아가시고 재단으로 기어코 살려왔다// 거기 공판장이지요/난데없이 공판장 찾는 전화가/ 시도 때도 없이 걸려온다/ 전화번호를 괜히 살렸다고 투덜대다가/ 문득 공판장에서 몇 번이가 번호를 사겠다는/ 전화가 왔다던 선생 말씀 생각난다// 중략... // 마음을 다잡다가도 끝내는 공판공판이 아니고 콩팥콩팥이라니까요/덜컥 끊어버린다// 나는 아직 멀었다.

시인의 말이 감명깊어 적어두었다.

- 시인의 말 142쪽
“내 인생의 대지에 나는 시를 뿌렸다. 내가 고른 씨다. 못난 손길로도 예쁘게 싹이 텄고, 슬픈 마음으로 어루만져도 기쁘게 자랐다. 꽃이 피었던 기억은 있는데 열매는 글쎄다. 시의 열매는 무엇일까 묻지 않았다. 삶이 여물면 시도 여물겠지 하며 지냈다. 사실 그것이 열매가 아닐까 생각하며 서두르지 않았다. 남의 논밭 기웃거리지 않았고 남의 작물이며 작황에 마음 쓰지 않았다. 그저 내가 뿌린 씨 하나도 버거워하며 나는 나의 대지에서 시와 함께 소요했다. 꽤 오래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