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 왕자 - 좋은생각 좋은소설선
생 텍쥐페리 글 그림, 고수현 옮김 / 좋은생각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어린왕자, 생택쥐페리, 좋은 생각,
#어린왕자
1. 읽었던, 읽었지만 읽은 것을 잊은, 읽지 않았지만 읽었다고 생각하는 책이 생택쥐페리의 ‘어린 왕자’다. 월간지 ‘좋은 생각’에서 제작년에 1년 구독을 하면 ‘어린 왕자’를 구독자에게 덤으로 줬었는데 그 때 받은 책이다. 터키에서는 이 책이 금서(禁書)라던데 내용 중에 터키의 천문학자에 관한 부분에서 터키의 지도자를 독재자로 묘사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느 별에서 만난 술꾼에게 왜 술을 마시냐고 물었는데 술꾼은 ‘부끄러워서’라고 말한다. 뭐가 부끄럽냐고 재차 물으니 ‘술 마시는 것’이 부끄럽다고. 말인지 방귀인지. 이런 소소하지만 큰 울림을 주는 이야기가 좋다.어린 왕자가 여러 별을 돌아다니며 만나는 사람들과 여우를 통해 들려주는 이야기는 거기에 살았던 그들과 지금 여기에 사는 우리, 다음을 살아갈 이들을 ‘길들이는’ 일을 계속할 것이다.
** 메모
2. - 새로 사귄 친구 이야기를 할 때면, 어른들은 가장 중요한 것을 물어보는 적이 없다. “그 애 목소리가 어떻지? 그 친구가 좋아하는 놀이는 뭐니? 나비를 채집하지는 않니?”하는 건 결코 묻지 않는다.
“그 애는 몇 살이니? 형제는 몇 명이지? 몸무게는 얼마나 나가니? 아버지의 수입은 얼마나 되니?” 등을 묻는다. 어른들은 그런 것들을 통해서만 그 친구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28쪽
- 어느 별에서 만난 왕이
“맞느니라. 누구에게든 그가 할 수 있는 일을 요구해야 하는 법이니라. 권위는 무엇보다도 이성에 근거를 두어야 하느니라. 만일 네가 너의 백성들에게 바다에 빠지라고 명령한다면 그들은 혁명을 일으킬 것이니라. 내가 복종을 요구할 권한을 갖는 것은 나의 명령들이 순전히 이치에 맞는 까닭이지.” 67쪽
: 맹자의 역성혁명론이 생각나는 구절이다. 제선왕이 나쁜 왕이라면 쫒아야 하느냐는 물음에, “백성을 위하는 마음이 없는 자는 필부이며 필부를 쫒아낸다는 말을 들었을 뿐 왕을 쫒아냈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는 맹자의 사상은 급진적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현대에 더 매력적인 이론인 것 같다.
“에헴! 에헴! 이 별 어딘가에 늙은 쥐 한 마리가 살고 있는 것 같다. 밤마다 찍찍거리는 소리가 들리느니라. 그 늙은 쥐를 심판하라. 그럴 만하면 사형에 처해도 좋다. 그러면 그 쥐의 목숨이 너의 심판에 달려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매번 특사를 내려 그 쥐를 아끼도록 하라. 쥐가 오직 한 마리밖에 없으니까 말이다.” 69쪽
83쪽
어린 왕자는 중요한 일에 대해서 어른들과는 매우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나는 꽃 한 송이를 가지고 있는데, 그 꽃에게 날마다 물을 줘요. 화산도 세 개 가지고 있어서 일주일에 한 번 그을음을 털어 내고 청소를 해 주지요. 불이 꺼진 화산도 똑같이 청소해요. 언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으니까요. 내가 그들을 소유하는 것은 꽃과 화산들을 위한 일이 되기도 해요. 하지만 아저씨는 별들에게 유익한 일을 조금도 하지 않잖아요······.”
- 여우를 만나 118쪽
“아니, 나는 친구를 찾고 있어. 그런데 길들인다는 말이 무슨 뜻이야?”
“요즘에는 많이 잊혀져 있는 일이지만, 그건 ‘관계를 맺는다’는 뜻이야.”
121쪽
“누군가를 길들이기 위해서는 인내심이 있어야 해. 우선 내게서 조금 떨어져 풀숲에 앉아 있어. 난 너를 곁눈질로 쳐다볼 거야. 넌 아무 말도 하지 마. 말은 오해의 근원이 될 수도 있으니까. 날마다 너는 조금씩 내게 가까이 다가와 앉을 수 있을 거야······.”
126
“아까 말해 주겠다던 비밀은 이런 거야. 그것은 아주 단순하지. 오직 마음으로 볼 때만 모든 것이 잘 보인다는 거야. 가장 중요한 것은 눈에 보이지 않아.”
3. 시간의 중력
132-133쪽
그는 목마름을 해소시켜 주는 알약을 파는 사람이었다. 일주일에 한 알씩만 먹으면 목이 마르지 않게 된다는 약이었다.
“왜 이런 것을 팔죠?” 어린 왕자가 물었다.
“이 약은 시간을 아주 많이 절약하게 해 주거든. 전문가들이 계산해 본 결과, 일주일에 53분씩이나 절약할 수 있다는구나.”
“그러면 그 53분으로 무얼 하죠?”
“하고 싶은 일을 하지·····.”
‘만약 나에게 마음대로 쓸 수 있는 53분이 있다면, 샘을 향해 천천히 걸어갈 텐데·····.” 어린 왕자는 이렇게 생각했다.
: 철학자 한병철의 '시간의 향기'가 생각나는 대목이다. 현대인은 가속화의 물결에 휩쓸려 머무름과 사색을 상실했다. 한병철은 '피로사회'와 '성과사회'의 원인으로 '시간 중력의 부재'를 꼽는다. 지속성이 동반되지 않은 전진은 방향을 상실하고 떠도는 배와 같다. 뭐든지 빨리, 많이 이루어야 이 세상 보람있게 사는 것이라는 허상에서 벗어나 잠시 멈추고 머물러 시간의 중력을 느껴야 겠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