곁에 두고 읽는 니체 곁에 두고 읽는 시리즈 1
사이토 다카시 지음, 이정은 옮김 / 홍익 / 2015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곁에 두고 읽는 니체』,사이토 다카시, 를 읽고
#니체 #곁에두고읽는니체



1. 이 책은 니체 입문서라고 하기에는 가볍고 자기계발서라고 하기에는 무겁다. 몇 개의 장을 나누기는 했지만 장을 다 없애고 될 듯하다. 여러 권의 니체의 책들(중심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토막을 인용하고 저자의 경험과 생각들을 설시한다. 곁에 두고 두고 읽기보다 통독으로 한 번 읽을만한 책이라고 생각한다. 가독성이 좋아서 맘먹으면 3시간이면 읽을 수 있겠다.


2. 소득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머리(이성)가 아닌 육신(몸)의 의미, 어린 아이와 같은 창조성에 대한 갈망, '독서하는 게으름벵이(읽기만 하고 외우지 않는 사람)'가 되지말고 좋은 글은 암송하는 것도 좋다는 조언 등은 이 책을 통해 걷어 올린 싱싱한 물고기다.


*** 메모




“한 번도 춤추지 않았던 날은 잃어버린 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하나의 큰 웃음도 불러오지 못하는 진리는 모두 가짜라고 불러도 좋다.”

“어린아이는 천진난만함과 망각 그 자체다. 아이들은 또한 새로운 시작과 놀이, 스스로의 힘으로 돌아가는 바퀴, 거룩한 긍정의 존재다. 춤은 천진난만함 그 자체로, 이는 춤이 몸 이전의 몸이기 때문이다. 춤은 망각으로, 이는 춤이 몸 자체의 무게를 잊게 하기 때문이다. 춤은 새로운 시작으로, 이것은 춤을 추는 동작이 스스로의 시작을 새로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중에서



- 데미안 중 “우리가 누군가를 미워한다면, 그건 우리 자신 안에 잠들어 있는 것들을 미워하는 것이다. 우리 자신 속에 없는 것들은 우리를 흥분시키지 않는다.” 42쪽




- 니체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주인공인 차라투스트라가 영원히 반복되는 삶의 무서움을 알고 난 후에, 그것을 견디면서 현재를 후회 없이 살아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 과정을 보여준다. 결론 부분에서 니체는 내세에서의 행복 따위는 기대하지 말고 지금 이 순간에 생명의 불씨를 최대한 지피며 살라고 말한다. 99
영겁회귀, 알베르 카뮈의 ‘시시포스의 신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