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작가가 되기로 했다 - 파워라이터 24인의 글쓰기 + 책쓰기
경향신문 문화부 외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와 책쓰기에 관한 책은 많다. 여러 권을 읽다보면 중복되는 이야기나 별다른 감흥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도서관에서 이성복 시인의 시집을 찾다가 눈에 띄여 빌렸다. 경향신문 문화부에서 경향신문에 연재되었던 파워라이터에 대한 인터뷰를 보충하여 펴낸 책인데, 24명 중 몇 사람만 골라서 보았다. 너무 많이 얻으려는 욕심보다 글이나 책이 잘 안들어 올 때 잠시 머리를 식힌다는 기분으로 보면 좋겠다. 글이나 책이 눈에 안들어오는데 책을 본다는게 좀 이상하게 들리지만 난 어쨌든 그렇다. 


문학평론가 정여울과 철학자 진태원의 조언은 귀담아 들으면 좋을 것 같아 메모했다.

이열치열 대신 이책저책이다.



신형철은 좋은 문장에 대해 확고한 기준을 갖고 있다. 바로 정확한 문장이 좋은 문장이라는 것이다.

그가 말하는 정확한 문장이란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이 아니라, 사태의 본질에 대해 정확한 인식에 도달함으로써 다른 그 어떤 문장으로도 대체할 수 없는 문장을 뜻한다(127-128쪽)


덮어 두었던 파일을 노트북에 저장만 해놓는 건 아니다. 따로 출력을 해서 벽에 붙여놓는 것도 중요한 글쓰기 과정의 일부다. 한 번씩 무심히 보고 지나가다 새로운 생각거리를 떠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163-164쪽, 이병률시인)


글을 잘 쓰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다면 수신자를 정해놓고 편지를 쓴다고 생각해보는 게 도움이 돼요(241쪽, 정여울)


생각을 다듬는 장소로는 지하철만큼 좋은 곳이 없다.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는 편인데, 집필 중인 글을 지하철에서 다시 읽어보거나 다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움직이면서 글과 생각을 정리하다보면 의외로 막혔던 곳이 뚫리곤 합니다. 그래서 저는 지하철을 무척 사랑합니다."(철학자 진태원, 26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