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간신히 희망할 수 있는 것 - 김영민 논어 에세이
김영민 지음 / 사회평론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어의 문고리’(김영민 논어 에세이, 우리가 간신히 희망할 수 있는 것, 사회평론, 2019)

 

'논어'라는 단어만 들어도 머리가 지끈거릴 수 있다. 책장에 '논어'에 관한 책 한 권 꽂혀 있는 경우가 많지만 원전을 끝까지 완독한 사람은 드물 거라 생각한다. 저자의 에세이"아침에는 죽음을 생각하는 것이 좋다"의 필력을 믿고, 아마도 이 책 안에는 논어의 텍스트와 더불어 영화, 문학, 유머가 있을 거라 확신했다. 예상은 틀리지 않았다. 잘 씹고 소화할 수 있도록 정제된 문장으로 기존 논어에 대한 해석에 그에 대한 비판을 적절히 서술하고 있었고, 저자 특유의 유머와 비유가 있어 논어에 대한 입문 에세이로 추천할 만하다. 



고전 텍스트를 읽음을 통해서 우리가 간신히 희망할 수 있는 것은, 텍스트를 읽을 줄 아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삶과 세계는 텍스트이다. 17쪽

 

- 『논어』텍스트 전체는 발화한 것, 침묵한 것, 침묵하겠다고 발화한 것, 이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분류를 염두에 두고, 독해자는 의도된 참묵마저 읽어낼 자세를 가지고 『논어』를 탐사해 나가야 한다. 29쪽

 

- 『논어』를 관통하는 중요한 주제 중 하나는 어떻게 모든 이를 사랑할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어떻게 미워할 것인가, 라는 정교한 미움의 문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92쪽

 

- 누군가를 정확히 좋아하고 미워하려면, 공정성에 대한 명철한 인식과 더불어 높은 수준의 공감 능력이 필요하다. 95쪽

 

- 일견 과한 행동처럼 보여도, 그것이 상황에 적절하기만 하다면 그것이야말로 중용일 수 있다. 123쪽 중용이란 예상하기 어려운 역동적인 상황 속에서도 적절성을 찾아내는, 그러기 위해서 기존 규범이나 예상으로부터 적절히 이탈할 수 있는 차원을 포함한다. 124쪽

 

- 자신의 잘못을 인지하려면,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려면, 무능을 넘어 배우는 일 자체에 대해 배우려면, 메타meta 시선이 필요하다. 공자가 극기복례克己復禮라고 했을 때, 거기에는 극복 대상이 된 3인칭의 자아뿐 아니라, 대상화된 자신을 바라보는 1인칭의 자아가 동시에 있다. 15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