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의 피아노 - 철학자 김진영의 애도 일기
김진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진영, 아침의 피아노, 한겨레출판, 2018



2018년 12월 22일 토요일


이 책을 읽는 동안 몸이 많이 아프다. 요즘 나를 찾아오는 감기의 전조가 오른쪽 편도선이 붓는 것인데, 이번에는 단순 후두염이 아니라 a형 독감이라는 거미줄에 걸려 버렸다. 열이 39도 가까이 치솟고, 콧물과 가래, 따가운 목까지 거미줄은 팽팽하고 바람만 겨우 지나갈 정도로 촘촘한 그물을 쳐 놓았다.


병에 관해 생각한다. 몸이 아프면 마음이 약해지고, 마음이 아프면 몸도 덩달아 아픈 경우가 많다. 몸의 병과 마음의 병, 둘은 선후관계가 있는 것일까.



2018년 12월 23일 일요일


아내와 20개월 된 딸 없이 이 집에 남겨졌다. 기척 없이 잠들고 예고 없이 잠에서 깼다. 누룽지를 끓이고 김치와 씻어놓은 딸기를 조금 먹었다. 그래야 약을 먹을 수 있다. 타미플루를 12시간 마다 한 알씩, 감기약을 매일 식후 세 번 씩 꼭꼭 시간에 맞춰 챙겨먹는다. 병은 이렇게 성실하다. 뒤질세라 덩달아 나도 성실하게 된다.


저자가 이 책에서 자주 언급한 롤랑바르트의 《애도일기》, 마쓰오 바쇼의 《마츠오 바쇼오의 하이쿠》를 곁에 두고 뒤적거린다. 치솟았던 체온을 낮춰준다.


병을 심하게 앓게 되면 나라는 존재 자체를 사랑하게 된다. 그러므로 병은 사랑이다. 병을 잃고 나면 나를 사랑을 또 잊게 될 것이며 그것이 내가 병을 부르는 방식이며 병을 그리는 태도다. 그리하여 사랑은 망각이다. 잊어버릴 줄 알면서도 자꾸 기억하고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