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길 (반양장) - 박노해 사진 에세이, 티베트에서 인디아까지, 리커버 개정판
박노해 지음 / 느린걸음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것입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읽고 제 생각을 기록한 글입니다. ​​



올해는 감자 수확이 좋지 않지만

라당의 여인들은 우울해하지 않는다.

무거운 짐을 지고 가파른 밭을 오르내리면서도

소녀처럼 경쾌한 목소리로 노래하고 대화한다.

"좋을 때도 있고 나쁠 때도 있는 거죠.

풍년에는 베풀 수 있어 좋고

흉년에는 기댈 수 있어 좋고

우리는 그저 사랑을 하고 웃음을 짓는 거죠."

p.19 [라당의 여인들]

"아이가 자라서 라당의 농부가 되면 좋겠어요.

밭을 밟고 오르며 농사짓는 건 몸이 좀 힘들 뿐이지만

남을 밟고 오르는 괴로움을 안고 살아갈 수는 없지요.

늘 마음의 평화를 누리며 살았으면 좋겠어요."

p.21 [마당에 모여 앉아]

아이들이 뛰노는 모습이야 어디서나 흐뭇하지만

인도네시아 아이들이 뛰노는 모습은 특별히 감동이다.

이 땅은 네덜란드와 일본의 350년 식민지 나라,

그들은 저항운동의 싹부터 말리고자

초등학교부터 아예 운동장을 만들지 못하게 했다.

독립저항의 주체인 몸 자체에 전족을 해버린

세계사에서 찾아보기 힘든 잔인한 전략이다.

p.61 [벌거숭이 아이들]

손수 지은 흙집에서 사과 농사를 짓는 부부는

"나라와 부모를 선택해 태어날 수는 없지요.

사람으로서 '어찌할 수 없음'은 기꺼이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어찌할 수 있음'은 최선을 다하는 거지요."

p.89 [구름이 머무는 마을]

하루 일을 마친 여인이 계곡물로 몸을 씻는다.

"오늘 종일 세 걸음의 밭을 개척했지요.

밖에서 자연과 대지를 존중하며 일했으니

이제는 집에 돌아와 제가 존중받는 시간이지요."

그녀가 차려주는 옥수수 나물밥을 먹으며

한 뼘의 농지도 늘려본 적 없는 나는, 그녀 앞에

자꾸만 미안하고 고맙고 부끄러워 목이 메인다.

p.171 [노을빛에 몸을 씻고]

흙먼지 묻은 흰 옷의 사내들이 강물을 만나자

발길을 멈추고 땀을 씻고 빨래를 한다.

"디레 디레 잘 레 만느." 마음아 천천히 천천히 걸어라.

부디 서두르지도 말고 게으르지도 말아라.

모든 것은 인연의 때가 되면 이루어져 갈 것이니.

p.247 [디레 디레 잘 레 만느]

"카슈미르에도 언젠가는 좋은 날이 오겠지요."

우리는 위대한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위대한 사랑으로 작은 일을 하는 것.

그것이야말로 내가 아는 가장 위대한 삶의 길이다.

p.295 [천 그루의 나무를 심은 사람]

박노해, <다른 길> 中

+) 이 책은 시인인 저자가 티베트, 파키스탄, 버마, 인도네시아, 라오스, 인디아를 방문해 소박한 서민들의 선량한 모습들을 사진과 글로 담아낸 사진 에세이집이다.

10년 만에 다시 재출간한 책자이나 여전히 그들의 삶과 사유가 글자와 사진으로 생생하게 남아 전달된다. 책을 읽으면서 저자가 만난 사람들이 한결같이 자기만의 굳건한 믿음으로 살아가는 이들 같아 뭉클했다.

그들이 간직한 희망은 그들이 올곧게 믿고 있는 믿음의 씨앗으로 연결된다. 그 믿음과 희망이 읽는 이에게 정직하고 일관되게 와닿기에 함께 응원하게 된다.

이 책에 실린 사진 대부분이 흑백인데 그게 오히려 저자의 문장과 나란히 설 수 있게 하는 특징이지 않나 싶다. 색이라는 선입견을 버리고 흑백의 미 그대로를 저자의 진솔한 문장과 엮고 있기에 집중할 수 있다.

저자의 문장은 담백하면서도 단단하다는 표현으로 설명하는 것이 옳겠다. 사진 속 이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조명할 때면 단단하고 직설적으로 말하면서도 담백하게 표현한다.

어떨 땐 감정이 몰아치듯 문장으로 풀어내지만 그조차 되도록 간결하게 써낸다. 저자만의 문장 스타일이라 판단한다.

이번에는 사진과 문장을 두루 살펴보며 읽었지만, 다음에 다시 읽을 때는 사진만 몰아서, 글만 몰아서 읽어보는 것도 재미있으리라 생각했다.

역경 속에서도 절망에 빠져있기보다 되도록 희망을 생각하고 꿈꾸는 사람들의 모습이 마음에 깊이 남는다. 어느 때고 이런 아름다운 사람들은 항상 우리 주변에 있다는 걸 보여주는 그런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중 하나는 거짓말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ㅡ그래? 넌 이야기가 왜 좋은데?

지우가 고개를 갸웃거렸다.

ㅡ끝이...... 있어서?

소리가 신기한 듯 목소리를 높였다.

ㅡ난 반댄데.

ㅡ뭐가?

ㅡ난 시작이 있어 좋거든. 이야기는 늘 시작되잖아.

지우가 잠시 먼 데를 봤다.

ㅡ이야기에 끝이 없으면 너무 암담하지 않아? 그게 끔찍한 이야기면 더.

소리도 시선을 잠시 허공에 뒀다.

ㅡ그렇다고 이야기가 시작조차 안 되면 허무하지 않아? 아무 일도 벌어지지 않잖아.

27%

ㅡ있지, 사람들 가슴속에는 어느 정도 남의 불행을 바라는 마음이 있는 것 같아. 아무도 몰랐으면 하는, 그런데 모를 리 없는 저열함 같은 게.

ㅡ그러니 너도 조심해.

ㅡ......

ㅡ믿을 건 가족뿐이야.

저 사람의 피가 자기 안에 흐르고 있다는 그 명백함, 그 징그러움을 어쩌지 못해서였다. '그러니 이상한 사람을 피해 도망친 곳에 더 이상한 사람이 있는 건 당연한 일 아닐까?' 채운이 씁쓸한 미소를 지었다.

58%

어제 강당에서 상담 교육을 받는데, 여기 봉사활동을 온 정신의학과 선생님이 그런 말을 하더라. '가족과 꼭 잘 지내지 않아도 된다'고. 그 말을 듣는데 이상하게 눈물이 날 것 같았어. 그런 말을 해주는 사람은 처음이었거든.

74%

떠나기, 변하기, 돌아오기, 그리고 그사이 벌어지는 여러 성장들. 하지만 실제의 우리는 그냥 돌아갈 뿐이라고, 그러고 아주 긴 시간이 지나서야 당시 자기 안의 무언가가 미세히 변했음을 깨닫는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우리 삶의 나침반 속 바늘이 미지의 자성을 향해 약하게 떨릴 때가 있는 것 같다고. 그런데 그런 것도 성장이라 부를 수 있을까? 시간이 무척 오래 걸리는 데다 거의 표도 안 나는 그 정도의 변화도? 혹은 변화 없음도? 지우는 '그렇다'고 생각했다.

96%

김애란, <이중 하나는 거짓말> 中

+) 이 소설은 각자의 사연을 갖고 있는 세 명의 고등학생들이 서로의 인생에 조금씩 관여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담임 선생님이 만든 자기소개 게임, 즉 다섯 개의 문장 중 하나는 거짓말로 자기소개를 하는 방식으로 학생들은 서로에게 관심을 가진다.

작품에서 '이중 하나는 거짓말'인 다섯 문장이 누군가에 대한 관심의 표현으로 작용하고 있다. 어쩌면 그건 스스로를 거리를 두고 살펴보는 방식의 게임인지도 모른다.

네 개의 진실과 한 개의 거짓을 만들기 위해 우리는 스스로에게 솔직해야 하고 세상은 그런 우리를 잠시라도 주의 깊게 지켜볼 수밖에 없다.

그 다섯 문장으로 이야기는 만들어진다. 여기서의 이야기는 이 소설의 표면적 스토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아이들이 꾸려가는 각자의 삶, 그중에서도 사연을 담은 한 부분의 이야기를 말한다.

엄마는 죽고 엄마와 동거하던 엄마의 애인과 살게 된 지우, 타인과 접촉하면 그의 미래를 잠시 볼 수 있는 소리, 가족의 틀에서 괴로움을 느끼며 비밀을 안고 사는 채운. 이 세 사람은 서로의 비밀을 눈치채면서 조금씩 가까워진다.

이 소설은 마치 청소년의 성장 소설 느낌이 있다. 아이들의 심리적 방황과 내면의 변화를 통해 그들이 어떤 선택을 했고 어떤 선택을 할지 다짐하는 걸 보여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사실 청소년만의 부분은 아니라고 본다. 어른들도 어떤 순간이든 매번 선택을 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후회와 두려움, 그리고 새로운 다짐을 하기에 아이들에게만 한정할 필요는 없다.

소설을 읽으면서 '이중 하나는 거짓말'의 의미가 진실을 강조하기 위한 배경도 아니고, 스스로를 드러내는 장치도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이중 하나는 거짓말'이라는 문장은 화자와 청자, 독자를 모두 하나로 엮고 있다.

진실과 거짓을 담은 이야기는 아이들의 말처럼 시작과 끝 둘 다 매력적이지만 그 자체로 빛을 낸다. 이야기를 사이에 두고 화자, 청자, 독자가 호기심을 갖는다. 어떤 사이든 그 관계의 의미를 은은하게 드러낸 소설이라고 생각했다.

더불어 숨 쉴 틈 없이 행간을 꽉 채워 써 내려가는 저자의 필법은 여전하구나 싶었던 작품이었다. 문장 구사력이 단단하고 참 알차다는 말을 이미 중견 작가가 된 저자에게 하면 실례가 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음 기지개 - 구겨진 감정의 해방 레시피
장훈 지음 / 보민출판사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것입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읽고 제 생각을 기록한 글입니다. ​​

*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



나의 마음이 내게서 멀리 떠나버린 것, 그것이 바로 우울이다.

p.14

삶의 무게가 없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그 무게를 계속 지고 갈 필요는 없다. 우리에게 더 중요한 것은 바로 '나 자신'이다.

우리는 종종 일과 타인의 기대에 나 자신을 소비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나 자신이다. 나 자신을 돌보지 않으면, 그 어떤 것도 온전히 해낼 수 없다.

pp.31~32

자신이 선이라고 확신하는 사람은 언제나 옳은 결정을 내린다고 믿는다. 그래서 자신이 행하는 모든 일에 정당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마취된 확신은 때로는 나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모든 갈등의 시작은 내가 선하다는 착각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진정한 평화는 내 안에 존재하는 갈등 요인을 인정하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그 인식은 단순히 자신을 나쁜 사람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언제든지 타인을 아프게 할 수 있고,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각이 있을 때, 우리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더욱 성숙하게 행동할 수 있다.

pp.79~80

받은 상처가 크다면 받을 위로는 더 크고

겪은 이별이 크다면 겪을 사랑은 더 크고

느낀 절망이 크다면 느낄 희망은 더 큽니다.

지금까지의 나는 어제보다 더 큰 나입니다.

p.90

모든 오해를 다 풀 수는 없다. 때로는 우리가 가진 노력과 배려에도 불구하고 풀리지 않는 오해도 존재한다. 그럴 때는 그 오해를 굳이 억지로 이해하려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오해를 풀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면, 그것을 받아들이는 용기도 필요하다.

내가 상대방을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한 것처럼, 상대방 역시 나를 완벽하게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면, 오해는 덜 두려운 존재가 된다.

그 오해를 이해로 바꾸기 위해서는 서로의 입장을 들어보고, 그 안에서 배려와 유연함을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여기서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사실은, 모든 오해를 풀 수 있는 건 아니란 점이다.

어떤 오해는 그냥 거기까지인 것이다.

오해를 풀기 위한 적절한 시도와 노력은 언제나 중요하다. 다만, 그 노력이 지나쳐 나를 소진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pp.136~137

기대치를 올리면 만사가 부족하고

이해치를 올리면 만사가 만족합니다.

바다는 언제나 강물보다 낮게 삽니다.

p.147

장훈, <마음 기지개> 中

+) 이 책은 타인과의 관계, 삶의 굴곡, 상처를 대하는 마음가짐, 자신의 감정을 바라볼 필요 등에 대한 생각을 짤막한 단상 형식으로 엮어 낸 에세이집이다.

저자는 이 책의 어떤 부분에서도 우리는 우리 자신을 사랑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여러 가지 상황에서도 우리 자신을 너무 소진하지 않도록 신경 쓰고, 자기 자신의 감정을 헤아려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상처를 받아도 자기 자신을 잘 돌보며 챙긴다면 그 아픈 시간을 비교적 잘 감당할 힘이 생긴다는 말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 스스로의 감정을 들여다보며 솔직하게 인정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그래야 진정한 의미의 행복을 찾을 수 있고, 삶의 방향성을 잡는데 도움이 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결국 나 자신을 확장시키는 일이며 성숙과 성장의 과정임을 다시 한번 느꼈다.

사람과의 관계가 깊어질수록 상처받을 일이 더 생긴다.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저자의 말처럼 어떤 오해는 풀기가 쉽지 않다. 그럴 때 스스로를 소진하면서까지 애쓸 필요는 없다.

충분히 마음을 다했어도 풀리지 않는 오해는 거기까지라는 저자의 말에 깊이 공감한다. 관계를 끝내라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은 그런 사람이고 나는 이런 사람이라는 걸 인정하는 게 낫다는 말이다.

작은 책 한 권에서 나 자신이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 배웠다. 그리고 내가 나를 아낄수록 대부분의 관계가 더 편해질 수 있음도 알게 해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병, 전쟁, 위기의 세계사 - 위기는 어떻게 역사에 변혁을 가져왔는가
차용구 지음 / 믹스커피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자력을 대체할 에너지원을 확보하는 길은 아직 요원하다. 하여 '에너지 절약'을 불, 석유, 원자력, 신재생에너지 다음으로 제5의 에너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독일 정부도 에너지 절약으로 탈원전 시대를 시작할 수 있었다. 이제 에너지 절약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이처럼 인류는 주어진 자원을 알뜰하게 사용하는 능력을 지녔다. 오늘날과 같은 쓰레기 과잉 배출의 시대는 인류 역사에서 그 기간이 매우 짧다. 반면 재순환 기술은 오랜 기간 호모 사피엔스의 생존법이었다.

원전 사고가 반복되는 오늘날 에너지를 절약하고 감량, 재사용, 재활용, 수거를 뜻하는 4R을 실천해 원전 의존도를 낮추면 그만큼 원전 참사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pp.67~69

푸틴의 역사 인식 문제점은 기억과 망각을 선택적으로 한다는 것이다. 2017년 러시아 혁명 100주년을 맞이한 푸틴 정부는 아무런 공식 기념행사 없이 혁명을 완전히 무시하듯 지나쳤다. 이른바 '망각 정치'다. 혁명 논의가 권력자 타도 시위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pp.133~134

서양 근대 300여 년의 역사는 사욕과 국익만을 앞세운 노예무역, 강제노동이라는 부끄러운 일들로 점철되었다. 최대 노예무역 국가였던 영국은 노예무역 금지법 제정 200주년을 맞은 2007년에야 학생들이 '수치스러운 과거'인 노예무역에 대해 반드시 배우도록 했다. 선조들이 행한 야만적인 역사를 스스로 부끄럽게 생각한다는 방증이다.

p.152

역사 교육은 학생들에게 획일적인 국가적, 민족적 정체성을 길러주는 수단이 아니라 자성적 관점을 길러준다. 그러려면 역사 교육은 일국사(一國史) 중심에서 벗어나야 한다. 역사 교과서는 국가 정책을 홍보하는 관용(官用) 역사책이 아니다.

p.213

산업사회가 유발한 생태적 위기인 코로나-19는 인간과 자연 사이의 '생태적 거리 두기'라는 과제를 던졌고, 환경 파괴와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새로운 통찰과 삶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했다.

되풀이되는 실수로 우리는 전쟁, 질병, 기근이라는 이미 정해진 삶의 늪에 빠져든다.

하지만 나쁜 역사의 재현을 막을 방법이 있다. 인간 본성을 재생산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을 바꾸면 된다. 다행히 인간은 반복적 행동으로 저항의 힘을 만들고 기존 규범을 뒤흔드는 '전복적 반복'이라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pp.217~218

차용구, <역병, 전쟁, 위기의 세계사> 中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것입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읽고 제 생각을 기록한 글입니다.

+) 이 책은 인류가 처한 환경 위기,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전쟁의 공포 등을 언급하며 그에 대한 해결 방안에 대해 성찰하고 있다.

저자는 역사적으로 인류가 처했던 전쟁과 환경 위기 등을 설명하며 그때마다 인간이 어떻게 대처했고 대응해왔는지 이야기한다.

그리고 그걸 통해 현재 우리가 처한 환경 오염의 현실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지구촌 전쟁 실태를 되짚어보고 벗어날 수 있는 돌파구를 생각해본다.

저자는 인류 위기는 역사적으로 반복되어 왔고, 그걸 해결할 힘도 우리 인류에게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현시대와 현 세대에 맞게 어떻게 이 어려움을 극복해갈지 의논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공존, 상호 협력 그리고 오래도록 회자된 공동체 의식을 다시 떠올렸다. 한 지역, 한 국가만 위하는 이기적 관점으로 살아갈 게 아니라 그 주변국과 여러 나라 간의 상호 협력적 태도가 필요한 시기이다.

저자가 이 책에서 언급한 공동선이라는 개념이 바로 그런 것이 아닐까 싶다. 환경 오염이나 전쟁은 일부의 문제가 아니다. 인류 전체가 함께 고민하고 같이 해결해야 할 일이다.

공동선과 공동체 의식은 예전부터 꾸준히 강조된 개념이다. 형식적인 생각으로만 이야기할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할 때가 왔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셰익스피어, 인간심리 속 문장의 기억 Shakespeare, Memory of Sentences (양장) - 한 권으로 보는 셰익스피어 심리학 Memory of Sentences Series 3
윌리엄 셰익스피어 원작, 박예진 편역 / 센텐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he rarer action is in virtue than in vengeance.

덕을 베푸는 일은 복수가 행해지는 일보다 드물지.

p.38 [템페스트]

What's in a name? That which we call a rose by any other name would smell as sweet.

이름이 무슨 의미가 있겠어요? 우리가 장미라고 부르는 그 꽃은 어떤 이름으로 불려도 향기롭잖아요.

p.49

With love's light wings did I o'erperch these walls, for stony limits cannot hold love out.

사랑의 가벼운 날개로 나는 이 벽을 넘었어. 돌담은 사랑을 막을 수 없거든.

p.57 [로미오와 줄리엣]

Better three hours too soon than a minute too late.

1분 늦는 것보다 3시간 일찍 도착하는 게 낫네.

p.75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

Hope is a lover's staff; walk hence with that and manage it against despairing thoughts.

희망은 사랑하는 사람의 지팡이라네. 그것과 함께 앞으로 걸어가게. 그리고 이 지팡이로 절망적인 생각에 맞서게.

p.97 [베로나의 두 신사]

Fortune brings in some boats that are not steer'd.

운명은 항로를 잃은 배들도 항구로 데려오지.

p.143

Thou art all the comfort. The gods will diet me with.

너는 신들이 나에게 허락한 모든 위안이야.

p.150 [심벨린]

Brevity is the soul of wit.

간결함은 지혜의 정수이다.

p.157 [햄릿]

박예진 편엮, <셰익스피어, 인간심리 속 문장의 기억> 中

* 이 서평은 해당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쓴 것입니다. 평소와 다름없이 읽고 제 생각을 기록한 글입니다.

+) 이 책은 셰익스피어의 작품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아름다운 문장들을 각 작품의 스토리와 함께 담고 있다. 특히 저자는 여러 작품 속 다양한 인물들의 모습에서 인간의 심리를 포착한다.

사랑, 질투, 진실, 오해, 권력, 욕망 등 인간의 심리가 셰익스피어의 작품에서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찾아본다. 셰익스피어의 명문장에서 인간의 본성을 잘 표현하고 있다는 걸 볼 때마다 작품 전체를 읽어보고 싶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셰익스피어의 문장들만 적은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의 간단한 스토리와 각 인물의 대립구도, 상황, 심리 등을 묘사하고 있어서 그 작품을 읽어보지 않은 독자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오히려 이 책을 통해 들어만 보았지 읽어보지 않은 그의 작품 속 명문장을 만나며 그 작품을 찾아 읽어봐야지 하는 마음을 갖게 만든다.

고전문학의 고전은 오래도록 전해내려온 것이라는 의미에서 한걸음 나아가 앞으로도 사랑받을 가능성이 높은 작품으로 생각했으면 싶다.

고전이 오랜 시간 사랑을 받고 전해내려오는 이유는 그 작품의 의미가 지금의 시대와 상황에서도 통하는 가치가 있기 때문이다.

저자의 설명을 통해 셰익스피어가 지금의 시대에도 통하는 이야기들을 그 시대에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위트와 센스, 그리고 깊이가 있는 작가라는 생각을 했다.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저자의 문장을 보며, 미술관에서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도슨트를 만난 듯 반가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