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운상가 키드의 사랑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172
유하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5년 10월
평점 :
네 번의 결혼식과 한 번의 장례식 中
둘은 서로의 기억 저편에 닫아둔 다락방에 대해 묻는다 사랑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욕망이란, 서로의 뇌수 뚜껑을 열어 그 은밀한 다락방을 들여다보고, 그 공간을 완벽하게 지배하고픈 것일지도 모른다 그 다락방조차 햇빛 가득한 창문을 내고 자신의 살림살이를 들여놓고 싶다는 욕망, 두 사람은 서로에게 이해될 수 있게, 다락방을 털어 재빨리 케케묵은 상처를 윤색하고, 비밀의 서랍을 정리해보지만, 그래도 말할 수 없는 것들이 있다 그것은 숨길 수밖에 없는 그 무엇이 아니라, 원래 침묵의 편에 서 있는 것들이다 ( 두 사람 사이엔 침묵의 심연이 가로놓여 있다) 지금 이 순간의 '불타오름', 그리고 나머지는 온통 무심한 어둠, 그 불꽃의 저편은 내 격정의 영토와는 무관하다 그 어둠 속에, 내 불타오름의 '타인'인 내가 살고 있고, 그녀의 불타오름의 '타인'인 또 다른 그녀가 살고 있다
유하, 『세운상가 키드의 사랑』中
+) 이 시집을 읽으면서 문득 시의 '자유로움'에 대하여 생각하게 되었다. 나는 어째서 시가 자유롭다는 것을, 지상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의 줄타기를 하는 기분일까. 어떤 작품은 시의 형식을 완전히 파괴하고 있는, 산문시도 아닌 마치 소설의 한 페이지같은 작품이 있었다. 그러고보니 형식적으로 연구분을 했을 뿐, 읽고 나니 몇 편의 산문을 섭렵한 것도 같다.
그러나 분명 그의 작품에는 시적인 무엇인가가 있다. 물론 문학을 고상한 것으로 취급하는 사람들이 읽기에는 거슬릴 수 있는 표현도 있고, 이런 소재를 어떻게 쓰나 하는 대중적인 부분도 있다. 그러나 그의 시에는 시에 대한 고민의 흔적이 농후하다. 아, 이 사람은 시를 가슴에서 놓아본 적이 없구나, 싶었다.
그의 표현대로 "인생이라는 환각"에 대해, 그는 시로서 응답하고자 했다. "재즈"로 삶을 그리고 시를 만들고 길을 걸어간다. 이 시집을 좀 더 이해하려면 대중문화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그는 "인간적인 고정관념"뿐만 아니라 시라는 고정관념을 벗어나고 싶었던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