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나크 사냥 ㅣ 미야베 월드 (현대물)
미야베 미유키 지음, 권일영 옮김 / 북스피어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구를 향해 겨눈 총구인가!
세키누마 게이코는 사랑하는 이에게 버림받은 여성이다. 그가 고시에 패스할 때까지 물신양면으로 성심껏 지원했으나, 고쿠부 신스케는 패스하자마자 그녀를 버리고 자신의 출세를 위해 합당한(?) 여성을 구해 그녀와 결혼하기에 이른다.남자에게 버림받았다고 해서 그가 벌을 받는 것도 아니고, 또 내가 가련한 여인이라고 동정을 받는 것도 아니다. 그래, 그에게 총을 겨눌 생각이다.
오리구치 구니오는 낚시 도구점에서 일하는 평범한 중년 남성으로 직원들에게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그가 아끼는 후배 사쿠라 슈지에게 노가미 히로미라는 여성을 소개시켜줄 만큼 자상한 면모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의 속마음을 아는 이는 하나도 없다. 오리구치라는 인물 속에 숨겨진 분노는 세키누마 게이코가 지닌 '총'을 만나면서 조금씩, 하지만 허리케인처럼 드러나기 시작한다.
공포에 휩싸여 두 눈을 뜬 채로 총에 맞아 죽은 모녀를 떠올리며 마음 아파한 적이 있는지, 그 진심을 확인해야 하지 않겠는가? 법정에서 피고 오오이 요시히코를 위해 열변을 토하는 변호사 두에서 그는 몰래 새빨간 혀를 날름 내밀고 있지나 않은지.
사람이라면 누구나 '죽이고픈' 충동을 느끼게 된다. 그 원인이, 혹은 이유가 무엇이건 "저 사람만 없어져준다면" 하는 생각이 들게 마련이다. 하지만 실제로 그 욕망을 실천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사회에서는 이 욕망을 대신해서 법이라는 수단을 사용, '처벌'해주기도 한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면? 죄를 지은 그들에게 사회가 '벌'을 내리지 않는다면?
이에 대한 내용을 다룬 것이 바로 『스나크 사냥』이다.
『스나크 사냥』은 루이스 캐럴의 『The Hunting of the Snark』과 같은 제목으로 루이스 캐럴의 작품을 먼저 읽는다면 여기서 말하는 '스나크'가 무엇인지 좀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뒤에서 투덜거리기보다 뭔가 해야만 한다, 그 말은 옳았다. 지금, 오리구치는 그렇게 생각한다. 그때 그 어린 학생은 자신의 고집스러운 정의감과 약간의 반항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그런 말을 했으리라. 하지만 그 말에는 그 학생이 생각한 것 이상으로 여러 가지 의미의 진실을, 매우 단순한 진실을 포함하고 있었던 게 아닐까.
인간의 갈등을 여실히 알몸 그대로 드러낸 『스나크 사냥』은 인간의 모습이 얼마나 처절하게 괴물처럼 바뀔 수 있는지를 알려주었다. 그것은 복수는 복수를 낳는다는 단순한 도식이라고 하기에는 부족하다. 책을 읽고 각자가 판단할 문제이긴 하지만 이것 하나만은 분명하다. ……고쿠부 같은 남성들은 『스나크 사냥』을 읽어본 뒤에, 자신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여성에게 미리미리 잘할 것. 안 그럼 무서운 총구가 언제 들이댈지 알 수 없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