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리 망치 - 2005년 일본추리작가 협회상 수상작 ㅣ 블랙 캣(Black Cat) 10
기시 유스케 지음, 육은숙 옮김 / 영림카디널 / 2006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씁쓸한 뒷맛, 유리 망치……
기시 유스케에 대한 지나친 편애심을 갖고 있는 나는 이번에 마음 먹고 『유리 망치』를 읽기로 했다. 사실 벌써 읽었어야 했지만.
수많은 기대감을 읽고 펼친 이 책은 자꾸만 『푸른 불꽃』의 씁쓸한 뒷맛을 떠올리게 했다. 사실 씁쓸한 맛이로 따지자면 『푸른 불꽃』을 따라잡을 수는 없겠지만 말이다.
『유리 망치』는 그간의 추리소설들이 대표적으로 내놓은 '밀실 살인'이라는 '트릭'을 사용하고 있다. 밀실 살인이라는 말은 그 자체만으로 '있을 수 없는' 용어다. 그 있을 수 없는 듯한 밀실 살인의 진상을 파헤쳐가는 것이 '밀실 살인'을 다룬 모든 추리소설의 공통점일 것이다.
롯폰기의 고층빌딩 최상층, 이중으로 된 강화유리 유리창, 적외선 센서와 고성능 감시카메라, 그리고 비밀번호 없이는 올라갈 수 없는 엘리베이터. 여기에 이중 삼중의 철문, 복도를 지키고 있는 세 명의 비서. 즉 절대로 들어갈 수 없는 사장실은 밀실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청년이 사장실에 시체가 쓰러져 있다는 것을 발견한다. 범행은 그가 목격하기 바로 직전에 벌어졌다. 피해자는 이 회사 사장으로, 위에 쓰여진 사실처럼 그 누구도 침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하지만 사장은 살해되었다. 어떻게 된 일일까.
번화가의 가장 비싼 건물의 사장이 살해된 만큼 그 진상을 좇기 위한 많은 인재들이 이 작품에 등장한다. 변호사부터 사설탐정까지. 그들은 이 밀실에서 벌어진 사건 때문에 온갖 가설을 내놓다가 결국에는 '자살'이라는 결론까지 내린다. 읽는 내내 나도 그럴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의외로 허무한데……."
이런 푸념까지 섞어가며. 하지만 진범은 늘 가까이 있는 법.
범인을 좇는 이들의 노력은 헛되지 않았는지 차근차근 베일이 벗겨진다.
도망쳐. 빨리!
굳어서 뻣뻣해진 오른손 주먹을 비틀듯 펴자 피범벅이 된 나이프가 땅바닥에 수직으로 떨어졌다. …… 등뒤에서 오싹 소름이 돋으리만큼 무서운 소리가 들렸다. 단말마의 짐승 비명인 양 띄엄띄엄 내뱉는 저주의 소리는 지금까지 고이케가 쏟아낸 어떤 협박보다도 무서웠다.
돌아보지 마. 달아나. 달아날 수밖에 없어. 살아남을 길은 하나밖에 없어.
공포가 산소결핍을 일으키고 몸에서 힘을 빼앗아갔다. 그래도 아키라는 계속 달렸다.
마치 늑대 무리에 쫓기는 토끼처럼.
하지만 범인의 이야기는 그가 그럴 수밖에 없었다는 사정으로 인해 자꾸만 씁쓸함이 느껴졌다. 씁쓸하고도 안타까운 느낌이 뇌리에서 떠나지 않았다.
하지만 사설탐정이 펼치는 마지막 반전은 허를 찔린 듯한 느낌이었다.
왠지 자꾸만 어이없는 웃음이 나오는 것은 읽어본 독자만이 알 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