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서른한 살, 사랑이 또 오기는 할까?
읽히는 맛과 감각이 일본소설과 많이 비슷하다고 느끼는 것은 나뿐일까? 요즘 2,30대 젊은이들이 일본소설을 많이 찾고 공감을 얻는다는 것에서 어쩌면 이 책은 요즘 젊은이(그러는 너는? =_=;)들의 코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사회인 경력 7년차, 슬슬 결혼에 대한 압박에(주변인물들이 아닌 스스로가) 시달리면서 뭔가 이대로 살아서는 안 될 것 같은 나이. 이젠 이십대라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이십대의 감성과 크게 다르지 않은 나이. 고민이 많은 시기의 나이를 저자는 '은수'라는 여주인공을 앞세워 이야기를 펼친다. 그녀가 고민하는 일상, 일, 연애의 고민은 우리의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하지만 역시 이 작품은 소설이었던가.
윤태오, 남유준, 김영수. 이 세 남자를 저울질해가며 객관식의 답 고르듯 남자를 골라가는, 하지만 그렇다고 한 남자만을 원하지도 않는 굉장히 이기적인 주인공. 그리고 일곱 살이나 어리고 착하며 예의바르며 잘생기기까지 한, 게다가 날 너무나 사랑해주는 그런 남자가 어디에 있겠는가. =_=;
그리고 마지막 남자 김영수 씨는 막판에 이르러 내가 이 작품을 왜 읽고 있는가 하는 생각마저 들게 했다. 이 작품은 2,30대 여성의 감수성을 자극하는 소설이지 괴수가 출연하는 판타지 소설이 아니란 말이다 ……. 그래 작가가 글을 쓰다 중심을 잃었다.
그렇게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은수가 누구도 택하지 않고 자기의 길을 진지하게 고민하면서 끝나는 마무리는 좋았지만 너무 늦었달까? 하여간 중심을 잡아가며 글을 쓰기란 굉장히 힘든 일 같다.
그나마 이 작품에서 좋아할 수 있는 인물은 은수의 '엄마'다.
그녀가 살아온 나날들, 옳다 나쁘다를 떠나 결국은 회귀할 수밖에 없었던 그녀의 선택.
어렸을 적 친하게 지냈던 친구마저 '이성'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리고 딸을 곤란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이유만으로 '이제 만나지 말자'라는 선언을 한다. 그런 결정을 하기까지 그녀가 고민했을 수많은 나날이 우리네 어머니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아 마음이 아팠다.
혹 나도 엄마에게 자식이라는 이유만으로 선택을 강요하고 있지는 않았을까?
하여간 몇 년 후에 겪게 될 달콤하지만 씁쓸할 나의 서른하나도, 잘 있어주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