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이 책을 알게 된 것은 이 책이 영화로 만들어진다는 소식 때문이었다. 그리고 몇 년 만에 한국 소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는 매우 바람직한 뉴스와 함께.
하지만 원체 남들이 좋다좋다 하면 더 읽기 싫어하는 완전 삐뚤어진 성격 때문에 나의 관심 영역에 가까운 책은 아니었다.
그런데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많이 울었다는 얘기가 내 귓가에 스쳐오면서, 문득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사실 막 울어댈 계기가 나에게는 필요했는데, 조금은 효과적이었던 듯. 눈이 많이 부었다). 그리고 사람들이 많이 읽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거니까, 괜히 공부한다는 핑계로.


이 책은 유정이의 이야기와 윤수의 이야기가 동시 진행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남들이 보기에는 부족할 것 하나 없는 집안에서 살아오는 유정이지만 그에게는 세상을 살아가야 할 만큼 삶에 대한 애착이 없었다. 15살에 겪었던 고통은 그에게 3번의 자살을 시도하게 만들었다. 그래도 모니카 고모가 없었다면 그는 지금껏 살아 있지도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부모에게 버림받고 힘든 유년 시절을 살아온 윤수. 그는 살아가는 것이 고통이었다. 차라리 죽는 것이 오히려 나았다. 사형수라는 이름의 무게가 오히려 그에게는 감사한 나날이었다. 
 

그러던 그들이 만나 서로의 삶에 대해 얘기하기 시작한다.
처음에 모니카 고모의 손에 이끌려 윤수를 만나던 유정은 솔직하자면서 진짜 이야기를 털어놓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경계의 눈빛을 풀지 않던 그였지만 오히려 그것이 그의 삶을 한층 빛나게 했다는 것을 그들은 알게 된다.

 
"저기요 . 저 오늘 여기 오고 싶어서 온 거 아니에요. 이제껏 온 것도 오고 싶어서 온 거 아니었어요. 저는 거짓말을 하고 싶지는 않았어요. 상투적인 말을 나누는 거 그거 제가 아주 싫어하거든요. 제가 제일 싫어하는 게 상투적인 거라서."
 

그들이 나누는 이야기는 지극히 평범한 내용이지만, 지금 살고 있는 삶이 고통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한다. 조금은 더 살아보고 싶다는, 그래서 그간 느끼지 못했던 아름다움을 느끼고 싶다고.
하지만 그들이 나누는 일주일의 3시간은 그날그날이 마지막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 윤수가 사형수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시간이 가장 소중하고 또 안타까운 것이다.

그 사실은 뒤로 갈수록 점점도 유정의 마음을 조여온다.
유정은 늘 자신의 기도를 들어주지 않던 하느님이지만 또 기도를 한다.
윤수를 살려달라고. 하지만 이번에도 그의 소원을 하느님은 들어주지 않을 것이다. 유정은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알게 된다. 그것은 바로 자신이 제일 증오하던 그 사람을 용서하는 일. 
 

"할 수 있는 게 없었어. 그래서 왔어 엄마를, 용 서한다고 말 하려고. 용서할 수 없었어. 그리고 지금 이 순간에도 용서하기 싫어! 그 인간보다 더 용서할 수 없었던 엄마 를 그런데 오늘 용서, 해보려고 온 거야."
 

그래, 정말 어려운 일은 그 상대를 용서하는 일이다. 그 상대를 용서하는 일.
그 일이야말로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게 하는 기적을 일으키게 한다. 

지금의 나도 누군가를 용서하지 못하고 마음 한구석에 고통을 담고 있을지도 모른다. 용서하자, 아픔을 버리자, 가장 행복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