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칙한 한국학
J. 스콧 버거슨 지음, 주윤정.최세희 옮김 / 이끌리오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우연히 책을 받게 되었습니다. 솔직히 관심도 없었지만 받은 책을 무를 수도 없는 노릇이라 집에 펴놓고 읽었는데... 어머니와 저의 공통 의견 '재미없다!'. 놀라운 것은, 그걸 저에게 준 사람이 이 책을 소개하며 '베스트셀러다, 반응 괜찮은 좋은 책이다'라고 한 것이었습니다. 아무리 서점 관련 종사자라지만... 어흐흑. 그래서 대체 이 책이 과연 '어찌하여 베스트셀러의 자리에 올랐는가' 싶어서 알라딘에 와보니... 다행스럽게도 저만 재미없었던 게 아니네요.

별을 2개 준 건, 작가의 성실성과 편집의 깔끔함을 샀기 때문입니다. 질은 형편없이 값만 다락같이 올린 책들이 많은 요즘에 속지 컬러인쇄를 해가며 비교적 책도 두툼하고... 성의가 돋보였습니다.

그러나. 아랫분들의 서평을 보며 제가 느꼈던 이 재미없음과 뭔지 모를 찝찝함이 뭔지 명확하게 깨달았습니다. 저는 '발칙한' '한국학'이라길래, 그래도 한국에 대한 어떤 비평서일 거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홍세화나 박노자의 글들처럼요. 그런 책들은 굉장히 재미있으면서도 인상깊게 읽었고, 읽으면서도 참 좋았었습니다. 그런데 이건... '한국'학이라는 타이틀에 맞는 부분은 맨 앞의 서문이 아닌가 싶네요. 그 서문부분은 재미있었습니다. 속물 PD와의 한바탕 에피소드 말이지요. (그러고 보니 김지룡의 '나는 솔직한 것이 좋다'에도 저런 류의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는 PD'가 나옵니다. '방송이란 아저씨 미디어'라는 핵심을 찌르는 통찰도 나오는데, 이 책에도 똑같은 부류의 PD가 나오는 걸 보니 '과연' 싶네요.)

하지만 그 다음에는... 한국에 사는 외국인들의 단편적 인터뷰들(양복점 아저씨 같은 한국인도 나오긴 하지만)에 치중한 부분은 무척 산만했고, 북한 얘기도 '그래서 무슨 얘길 하고 싶어?' 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평면적이었습니다.

솔직히, 처음에는 앞부터 차근차근 읽다가 재미없어서 중간부터는 띄엄띄엄 읽다보니 책을 총괄적으로 조망하지 못했지만... 저와 취향이 제 어머니도 재미없다고 책을 덮으시는 걸 보니, 더 읽을 의욕이 안 나데요.

흠, 만약 이곳에서 언급한 부산 외국인 거리, 이태원, 홍대, 그런 쪽의 문화를 좋아하는 분이라면 흥미로울지도 모르겠습니다. '쿨'한 문화로 인정받는 모양인데, 저같이 지루한 노땅 문화 방콕족에게는 정말 맞지 않았던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