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유영미 옮김, 우석훈 해제, 주경복 부록 / 갈라파고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현재의 식량생산은 전세계 인구의 두배에 달하는 사람이 먹을 정도인데 말이다. 이 책은 전세계 전역에 걸쳐있는 굶주는 아이들을 위해 적선하듯 돈 몇푼 하라는 호소가 아니다.
먹고 사는 문제는 정말로 중요한 문제다. 이는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이 아무리 어렵다 어렵다 하지만, 절대적인 빈곤에 허덕이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내가 말하는것은 절대적 빈곤을 얘기하는 것이다.
어느 한쪽에서는 식량이 남아돌아 버리고, 비만은 병으로 치부되어 다이어트 열병이 불고 있는데 어느 한쪽은 먹지도 못하고 죽어가고 있다. 미국이 생산할 수 있는 곡물 잠재량만으로도 전세계 사람들이 먹고 살 수 있고, 프랑스의 곡물 생산으로 유럽 전체가 먹고 살 수 있는데 도데체 수 많은 어린이 무덤이 생겨나는 것이 상식적으로 이해될 성질일까?
그는 빈곤의 문제를 가져온 절대적인 이유를 신자유주의로 설명한다. 이는 달리 말하면 신자유주의가 없어지지 않으면 빈곤의 문제도 해결이 불가능하는것을 의미한다. 현재 신자유주의는 맹신에 가까운 믿음이기에 쉽사리 깨질 것 같지 않고, 설령 깨진다 하더라도 신자유주의는 이름만 바뀔뿐 또 다른 신자유주의는 다른 무언가로 대체 될 것이다. -갤브레이스의 "경제의 진실"은 빈곤의 문제가 해결 될 수 없는 우울함을 말해준다-
<2005년을 기준으로 10세미만의 아동이 5초에 1명씩 굶어 죽어 가고 있으며, 비타민 A 부족으로 시력을 상실하는 사람이 3분에 1명 꼴이다. 그리고 세계 인구의 7분의 1에 이르는 8억 5천명이 심각한 만성적 영양 상태에 놓여있다> page 18
< 브라질의 조슈에 데 카스트로(전 FAO의장) 는 1952년에 자신의 유명한 저서 "기아의 지리학"에서 이 "금기시되는 기아"를 언급했지. 그의 설명은 무척 흥미로워. 사람들이 기아 사태를 아는 것을 대단히 부끄럽게 여긴다는 거야. 그래서 그 지식 위에 침묵의 외투를 걸친다는 거야. >page 82
<금융자본은 결코 가치를 창조 하지 않는다> page 160
<소수가 누리는 자유와 복지의 대가로 다수가 절망하고 배고픈 세계는 희망과 의미가 없는 폭력적이고 불합리한 세계이다.
모든 사람들이 자유와 정의를 누리고 배고픔을 달랠 수 있기 전에 지상에 진정한 평화와 자유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서로 서로 책임져 주지 않은 한 인간의 미래는 없을 것이다.> p. 171
<희망은 어디에 있는가? 정의에 대한 인간의 불굴의 의지 속에 존재한다. 파블로 네루다는 그것을 이렇게 표현하였다. "그들은 모든 꽃을 꺽어버릴 수는 있지만, 결코 봄을 지배할 수는 없을 것이다."> page 171
<인도적인 도움은 절대적인 중립, 보편성, 독립성을 요구한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고통 받는 인간의 필요를 겨냥한 것이어야지, 결코 한 국가의 필요에 따른 것이어서는 안된다> p. 180
난 내 삶을 송두리채 바칠 만큼, 이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니다. 투철한 의식을 가지고 투쟁하지도 못하는 사람이다. 내가 실천 할 수 있는 부분이 너무 작다. 모든걸 다 청산하고, 기근과 가난이 있는 지역으로 갈 수도 없고( 거기 가는 사람들은 전문가 집단만이 간다. 나는 가고 싶어도 못간다.) 내 수입의 모두를 다 국제기아대책기구에 쏟을 수도 없기 때문이다. 돈 몇십만원이 무슨 도움이 되겠어? 라고 반문한다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그냥 돕자. 이는 고통 받는 사람에 대한 무겁고 불편하지만 그래서 피하고 싶지만 사실인 얘기기 때문이다.
우리들은 적어도 세끼 밥은 먹고 있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