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간의 길을 가다 - 실천적 사회학자 장 지글러의 인문학적 자서전
장 지글러 지음, 모명숙 옮김 / 갈라파고스 / 2016년 4월
평점 :
[인문
서평] 인간의 길을 가다 - 이 시대의
지식인에게 던지는 실천적 사회학자 장 지글라의 질문
스위스 사회민주당 의원이면서 UN 인권위원회 자문위원을 맡고 있는 저자가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역할에 대한 소회를 정리한 글이다. 그는 인간을 소외시키는 잘못된 사회구조에 대한 변혁을 고민하는 지식인이 되어야 함을
말하고있다.
이 책은 저서전은 아니다. 저자가 일생동안 가지고 있던 생각들을 정리하는 철학적 에세이에 가깝다.
그는 이 책을 통해 어떤 길을 살아야 하는지를 강변하기 보다는 전체적인 고민의 틀을 제시하면서 스스로 가져볼 질문을 던지고 있다. 아마도
일생동안 자기 자신에게 던져졌을 질문이라는 생각이 들게 한다.
저자는 국민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진 시기가 중요하다
말한다.
프랑스 혁명을 제압하려는 프로이센동맹을 단결된 시민혁명군이
막아내면서 그들이 외쳤던 구호가 "국민 만세"였다. 이것은 국민이라는 단어가 시민권력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것을 말한다. 결국 시민혁명이
만들어준 중요한 개념이 국민인 것이다. 그때까지 인간을 억압했던 봉건사회의 질서를 마감하고 진정한 민주
시민의 등장을 알렸던 개념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19세기 제국주의의 등장은 이러한 국민의 개념을 바꿔놓았다.
국민국가라는 개념을 보다 정교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를 통해 새로운 권력이 등장하게 된다. 국가를 운영하는 시스템의 조정자인 관료들이 새로운
권력층으로 떠오르게 된 것이다. 그런 뜻에서 당시 관료들을 선출된 귀족이라 비판하기도 했다.
여기에 문제가 하나 더 있다. 그것은 식민주의의 등장으로 인해
만들어진 국제적 권력질서의 재편이다. 아프리카의 분할이나 중동 문제 등은 이러한 문제의 극단적 표현인 것이다. 아직도 세계 많은 사람들이 국제적
경제억압의 질서에 의해 착취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시민혁명으로 만들어졌던 민주주의의 개념이 이렇게 변질이 된 이유를
저자는 인간이 가지는 강한 공동체성에 기인한다고 말한다. 인류가 진화하면서 다른 종들을 정복하고 지배하게 된 이유는 집단생활을 조직했기
때문이다. 스스로를 강하게 만드려는 인간의 습성이 사회를 만들었으나, 그러한 사회가 역설적으로 인간을 소외시키게 되버린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마지막 질문을 던진다.
당신이 가지는 가치개념을 누구를 위한 것인가라는
질문이다. 인간의 보편적 가치의식을 당신을
목표하고 있는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 결국 지금 사회의 질문 중 가장 중요한 질문인 옳음이 좋음을 앞선다라는 질문에 답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칸트의 이야기를 던지면서
정리한다.
"남에게 가해지는 비인간성은 내안의 인간성도 파괴한다"(임마뉴엘
칸트)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 좋은 질문을 던지는 책이다. 불평등을 야기하는
경제 질서와 인간을 소외시키는 상부구조의 역할에 충실할 것인가? 시민사회와 연대하여 불합리한 질서를 바로잡는 역할에 충실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답하는 방법은 인간의 보편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무엇인가하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라는 것을 생각하게 하는 시간이었다. 지식인의 고뇌를 오늘도
생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