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량쇼크 - 값싼 식량의 시대는 끝났다
김화년 지음 / 씨앤아이북스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식량자본으로부터 절대 자유할 수 없는 이유: 식량쇼크의 현실
식량부족의 현실은 이미 어느 한 국가나 지역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다. 2010년 러시아의 곡물수출금지의 여파가 중동의 봄을 자극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세계적으로 식량가격이 급상승했으며 식량부족으로 진흙쿠키까지 먹는 현실이 지구촌에서 벌어지고 있다.
이 책은 식량의 위기에 대한 분석과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식량의 위기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식량의 개념이 3S(Sufficient, Stable, Simple)에서 3R(Rare, Risky, Renovated)로 변화
- 세계적 식량 재고율 악화와 식량의 편재성(밀,옥수수,쌀,대두 등의 집중)이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
- 식량위기의 요인은 첫째, 수요증가에 있다. 신흥국의 식량수요, 육류소비 증가와 바이오연료 증가가 원인을 갖고 있다.
- 둘째, 기상이변과 도시지역과 공업지역의 확대로 인한 재배면적의 감소, 곡물수출의 제한 등으로 공급의 감소를 가진다.
- 셋째, 식량자원의 투자상품화, 곡물메이저의 시장 장악, 유가상승으로 인한 생산비 증가가 원인이다(곡물 ABCD로 불리는 ADM, Bunge, 카길, LDC등이 세계곡물시장을 장악하고 있음).
이러한 원인은 식량산업이 새롭게 주목받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 식량과 농지의 투자 수익율이 금투자보다 유리해진다(주요선진국은 자국식량생산정책을 우선함).
- BT와 종자전쟁이 시작될 것이다.
- 한국은 곡물자급율이 26.7%(식용곡물 54.9%)로 현저하게 작으며 쌀 수급의 제한성으로 위기를 만들 요인을 안고 있다.
- 농가감소: 44.7%(70년)->15.5%(90년)->6.4%(2010년), 농지감소: 23.3%(70년)->21.2%(90년)->17.4%(2010년)로 인해 농업생산량 절대 감소
- 식량수입이 일부국가에 국한되어 수급불균형 초래 위험과 밀자급화의 필요성이 요청됨
다음과 같은 새로운 대안을 만들어야 한다.
- 식품의 5C트렌드(Clean, Convergence, Convenience, Country, Culture)를 만족하는 브랜드를 만들어야 한다.
- 해외 생산기지개척(안정성, 지역선택의 선택과 집중, 브랜드)을 해야 한다.
- 식품의 인터넷시장 강화: 맛의 시각화, 불법식품유통 근절, 현대인 식성에 맞는 조리법 가공
- 농업펀드 구성(생산의 규모화 추진)
- 새로운 시장 개척: 2조달러의 이슬람식품 시장
- FTA 등에 대비해 농업의 스마트화, 고품질 추진 등과 농업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값싼 식량시대가 종말할 것인라는 멜서스인구론이 이론적으로는 틀렸지만 그 예언은 다른 방향으로 위기를 만들고 있다. 나는 이 위기의 시작이 식량이 산업화가 되면서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 다양한 원인의 분석과 대안을 말하고 있는 것은 공감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식량의 산업화가 가져온 이윤창출이라는 문제는 결국 자본의 문제로 만들었고 그것이 가져온 투기가 가장 큰 위기를 심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위기를 타개할 방안은 마지막에 말한 것처럼 우리의 인식전환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한다. 한국농업의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바꿀 좋은 생각들을 만들어야 할 때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