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
알랭 드 보통 지음, 박중서 옮김 / 청미래 / 2011년 9월
평점 :
[인문
서평] 무신론자를 위한 종교 - 무신론
시대에 생각해보는 공동체성과 인간성의 회복
무신론적 전제를 가지고 살지만 누구보다 신앙적인 사람이 있는가 하면, 철저한 종교인이지만 불신앙적인
사람이 있다. 저자는 점점 무신론 시대에 빠져드는 현대인들의 심성 속에 사라지고 있는 종교적 유의미성을 찾아봄으로서 현대인에게 필요한 종교성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저자는 종교 논쟁이 필요한 이유는 존재론적 의미를 탐구하는 작업때문이 아니라 공동체성의 회복과 인간 본연의 모습을 찾아야
하는 이유때문이라고 한다.
저자는 본인이 무신론자임을 자신있게 말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종교가 필요하다 말한다. 이렇게 말하는
그의 이야기는 모순된 것이 아니다. 그는 무신론자들이 잊어버린 것 중에 중요한 것이 았다고 말한다.
그것은 종교의 태생부터 존재하고 있던 것이다. 이기적인 인간이 함께 살아야 하는 문제에 막닺뜨렸을 때
그것을 해결되는 공간이 공동체였다. 이러한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해 도덕적 제도가 필요하였고, 그러한 제도적 정당성을 만든 방법이
종교였다.
물론 많은 근본주의자들은 이러한 근거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인간의 도덕적 이유때문에 종교가
만들어졌다고 하는 말을 이해하기 이려울 것이다.
저자는 종교의 필요성은 공동체의 유지를 위한 근거 제시와 나약한
인간에 대한 위로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무신론이 종교 자체의 존재론의 의미를 비판하려는 목적때문에 종교의 긍정성까지 지워버리는 실수를 저질렀다. 결국 이러한 모습이 현대사회를 삭막한
사막으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
공동체의 정신을 다시 살리는 것, 서로에 대한 배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상업적 가치보다 더 좋은 가치가 있다는 것, 대학 교육과 문화교육에 접근방식을 변경하는 것, 숭고한 것과 초월적인 것을 통해
새로운 관점을 확보하는 방법 등을 우리는 다시 찾아야 하는 것이다.
그가 찾고자 하는 이야기는 현대 지성이 잊어버린 가치들을 새롭게
찾아나서는 여정이 될 것이다. 사실 이러한 여정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종교 근본주의자들로부터 외면받은 저자가 자신의 우군들도 등을 돌릴 수
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 글이 매우 용기있는 저작이라 생각되는 이유다.
이 책을 통해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인간성의 회복이 왜
필요한가이다. 그 근거와 해법을 스케치하고 있는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따뜻하면서도 냉철한 현대지성의 방향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현대
사회에 부족한 공동체성의 논의를 위해 한걸음 나아가는 이야기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