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한국 현대사 - 피와 순수의 시대를 살아간 항일독립운동가 19인 이야기
안재성 지음 / 인문서원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서평] 잃어버린 한국 현대사 - 그 많던 항일독립운동가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이관술, 김원봉, 박헌영, 김무정, 이강국, 이재유, 박진홍, 이순금, 정칠성... ... 한때 이들의 이름을 들먹어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는 시대가 있었다. 조국의 암울한 현실을 온 몸으로 맞써 싸웠던 그들의 모습이었지만, 남과 북의 정치적 입장 차이로 인해 이름 조차 사라져버린 이들. 그들의 이름을 다시 불러내는 일은 어떤 정치적 입장이 아니라 민족의 미래를 위해 올바른 정기를 세우는 일일 것이다. 민족의 독립을 위해 모든 삶을 불살렀던 그들의 모습을 통해 현재 우리 삶의 모습을 반성할 수 있기때문이다.


이들의 이름을 지운 것은 굳이 좌우 대립때문이 아니다. 자신의 힘이 아닌 미소 강대국의 힘에 의해 일본의 침략으로부터 벗어난 자체에 이미 그 맹아가 자라나고 있었다. 

남한 정부는 미국에 의해 공산주의 이념의 방어막으로 작동되면서 반공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친일파를 다시 등용하면서 올바른 친일 청산을 하지 못한 것은 물론, 민족 독립을 위해 가장 많은 활동을 했던 공산주의자 척결에 나섬으로 인해 그들의 공과마져 지워버린 것이다.

또한 북한 정부는 소련이 자신의 생각대로 움직이는 정부를 구상하면서 보낸 김일성 중심으로 북한 정부를 구성하면서 김일성이 자신보다 더 인정받던 지도자들을 일본과 미국의 간첩이라는 오명을 씌워 숙청을 하면서 북한에서마져 지워버리게 되었다. 그래서 이들의 이름을 거론하는 것 자체가 한국현대사에서 금기가 된 시절이 있었던 것이다.


이들의 이름을 지우고 한국 현대사를 논하다 보니 자기 식의 꾸미기가 너무 심해져버려 역사를 정부 찬양으로 만들어버렸던 시절도 있었다. 물론 역사는 객관적인 기록은 아니다. 지금 시대에 사는 사람들이 그때 사건을 해석해내는 일이 역사라고 할 때, 누구보다 진실하게 활동했던 사람들을 간첩이나 폭도로 규정하는 것은 자신의 부끄러움을 숨기는 일에 불과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모습은 스스로 속이라고 후대를 가르치는 것에 불과한 행동이 되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어렸을 때 많이 듣던 라디오방송이 생각났다. TV가 없던 시절 마루에 있는 라디오에서 아버지가 틀어놓은 '법창야화'나 '전설따라 삼천리' 등과 함께 반공드라마도 많이 나왔던 소재였다. 그당시 들었던 많은 사건들이 거의 조작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겪은 충격이 한때 청년시절을 학생운동으로 이끌게 만들었었다. 지금은 균형잡힌 생각을 정리하면서 제대로 된 역사를 정리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잘못된 역사를 후대에 전해주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바쳐 싸웠던 그들의 기록을 지금이라도 제대로 정리하는 일은 민족을 위해 몸을 사른 그들의 영혼을 조금이라도 위로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들을 복권하고 제대로 된 기록을 정리하는 것은 좌우의 입장 문제가 아니라 올바른 역사를 후대에게 물려줄 사명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이 책을 통해 더 활발한 현대사 논쟁이 진행되길 기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