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지 않는 한국사 -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한 우리 역사의 불편한 진실
최성락 지음 / 페이퍼로드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서평] 말하지 않는 한국사 - 교과서에서 배우지 못하는 우리 역사의 불편한 진실



국정교과서로 말이 많은 요즘, 한국 역사 교육의 아쉬움을 말하고 있는 반가운 책이 나왔다. 국정교과서도 문제이긴 하지만 역사적 상상력을 가로막는 현 한국사 교육의 문제를 짚고 넘어가는 저자의 선견이 눈에 뛴다. 다만 이런 문제에서 항상 아쉬운 것은 역사의 새로운 견해를 말하는 문제 제기가 전공자가 아닌 비전공자에게서 더 보인다는 점이다. 물론 학문이 반드시 전공자의 것만은 아니다. 그러나 전공자들의 역사적 안목이 비전공자들에 비해 떨어진다는 인상을 받을 수 밖에 없게 하는 인식을 또 한번 가지게 한다.


물론 이 책이 학문적 정교함을 논하고자 하는 책은 아니다.

그러나 인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문학적 성찰이 가능한 상상력이다. 아무리 많은 논증이 있다고 하더라도 상상력이 없다고 한다면 의미없는 경 외우기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역사학은 과거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단순히 사건의 나열을 하는 학문은 아니다. 그 사건의 의미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르치고 있으며, 우리들의 삶에 어떤 이정표를 가르켜주는가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역사학은 과거의 학문이 아니라 지금 우리의 학문인 것이다.


이 책은 그러한 의미를 잘 살리고 있는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4가지 중요한 주제에 대해 말하고 있다.

첫째는 고대 역사를 통해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잘못된 영토적 인식과 문화의 중요성을 지적한다.

많은 역사가들이 신라의 통일때문에 한국역사가 약소국이 되었다는 생각을 말한다. 저자는 신라 삼국통일의 의미보다는 고구려와 당의 전쟁에 대한 결과물이라 보아야 한다고 말하면서 고구려가 통일을 했더라면 과연 한국이 더 위대한 국가가 되었을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많은 나라가 중원을 정벌하고 싶어했고 고구려도 마찬가지엿다는 사실을 통해 고구려의 호전적 입장을 지적하고 있다. 중원을 통일한 몽고나 거란 등 족속들이 있었지만 결국 한족에 의해 동화되고 지금은 그들의 문화는 사라친채 한족이 지배하는 중화의 나라가 된 것 같이 만약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다면 같은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라 말한다. 이 말은 삼국 중 단군역사를 그대로 승계하고 그 문화를 이어오고 있던 나라가 신라였다는 사실에서 의미있는 지적이다. 문화를 잊어버린 민족은 사라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말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의 발전론과 한국사에서 차지하는 바닷길의 의미, 한국의 금속활자가 세계사에서 인정받지 못하는 이유 등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역사적 측면을 지적하고 있다.

이 책의 결론은 사실 단순하다.

역사의 문제에 대해서는 감정적으로 치우쳐서는 안된다. 그럼에도 역사는 자신의 민족에 대한 정체성을 밝힐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중요한 것은 역사적 자부심을 스스로 인식할 수 있게 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그러한 자부심을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역사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지금 정부가 추진하는 획일적인 답을 요구하는 교육은 시대에 역행하는 교육이라는 것이다. 저자가 서문에 국정교과서를 반대하는 글을 쓴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때문이다.

상상력이 없는 민족, 다시 물해 꿈을 꾸지 못하는 민족은 타 민족의 지배를 받을 수 밖에 없다. 유리는 그러한 과거를 이미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반성하지 못하고 이전의 과오를 다시 범하려 하는 현재의 모습에 대해 반성과 각성을 해야한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생각해보게 한다.


대륙문화와 해양문화의 뒤섞음을 통해 창조적인 우리의 문화를 만들었던 자랑스런 선조들의 문화적 유전자를 각인하고 새로운 미래문화를 만들어가야 할 사명을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