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심 경제 - 착한 회사가 위대한 성공을 낳는다
스티븐 오버먼 지음, 김병순 옮김 / 싱긋 / 2015년 10월
평점 :
[경제 서평] 양심 경제 - 착한 회사가 만드는 위대한 성공
"선한 것이 아름답다"라는 말을 유행시킨 우분투(함께 하는 온정이라 해석할 수 있음) 이후 더 이상 양심이 도덕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관계의 문제이며, 새로운 경제를 만든다고 말하는 책이다.
이러한 말에서 등장한 양심 경제는 새로운 시대에 임하는 기업의 방향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양심경제는 경쟁이 우선이다라는 원칙이 아니라 윈-윈의 관계를 지행하는 새로운 경제원칙을 만들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시대를 의식이 양심으로 전환되는 시대라 말하고 있다. 기업의 일방통행이 아니라 상호 대화를 통한 기업의 성장으로 바뀌고 있는 시대라는 것이다.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희소자원의 배분을 생각하며, SNS의 확장, 흔들리는 의료체계, 새로운 반자본주의, 새로운 범죄, 대안 화폐 등 새로운 인자가 등장하는 시대에 기업은 두 가지 갈림길에 서 있다. 자신의 현재 상황을 어떻게 지키려고 노력할 것인가, 아니면 새로운 대안을 고민할 것인가라는 두 갈림에서 기업은 자기만의 망원경을 통해 신대륙을 보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망원경은 스스로 자신의 길을 찾는 노력과 방법을 자신의 회사와 연관시키고, 자신의 팀을 통합시켜 나가서 이러한 일을 일상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새로운 시대가 원하는 양심문화를 만드는 것에 자신의 조직이 동참하는 모습을 바라보아야 하는 것을 재미있게 망원경이라고 비유한 것이다. 집단적 자아 실현과 난관주의, 공정성, 투명성, 선택의 자유와 세계 시민권이란 모습으로 나타나는 양심문화는 맞춤화와 개인화라는 시대상과 결합하여 새로운 모습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양심문화를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과 창업지원조직, 착한 시장, 자등 기부시스템은 더욱 발전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숭배하는 브랜드들도 이제는 양심브랜드가 대세가 될 것이라 말한다. 가치의 문제를 전략화하는 것이 기업의 최대 목표가 될 것이며, 이것을 이야기화하고 일관성있게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한 기업의 전략이 될 것이다.
이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하나의 부분이 아니라 당연하게 전체 목표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목표 속에 나오는 매치메이킹이라는 단어는 전반적인 관계의 마케팅을 말하고 있다. 소비자 의사 결정의 상황을 수시로 모니터하고, 끊임없는 대화를 이어가며, 명료하게 일을 처리하는 것(투명성이 당연하게 전제된)과 창조적인 응집력을 만들어 가는 모습이 매치메이킹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기업의 활동을 통해 집단의 혁신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기업의 성패와 직결된다. 매치메이킹은 합의가 아니라 협업이라고 말한다. 합의는 혁신의 실패요인이지만 지역사회와 클라우드 소싱으로 나타나는 협업은 새로운 혁신을 이루어낸다.
양심경제에서 중요한 것은 서구자본주의의 전도사 밀턴 프리드먼이 말한 " 기업은 오직 한 가지 사회적 책임을 가진다. 게임의 법칙을 지키는, 다시 말해 공개적이며 자유로운 경쟁에 전념을 다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책임이다" 라는 말에서 잘 나타난다. 기업의 본연의 임무를 잘 수행하고 새로운 혁신에 임하는 것이 진정한 사회적 책임이며, 이러한 기업의 활동을 상호연관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기업의 책임의 범위를 확대하고 선의의 행동을 측정하여 수치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선의의 행동도 경영수치에 포함을 시켜야 하는 것이다. 기업이 새로운 양심문화로 변화하는 시대에 잘 적응하고 좋은 성장을 만들어가는 것, 바로 이것이 양심경제의 모습이며, 모두가 바라는 새로운 시대의 기업상인 것이다.
새로운 21세기 사회적 경제를 이론적으로 잘 설명하고 있다. 다만 이것을 양심경제로 표현해 너무 일면적인 모습만 본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인간의 기업활동은 인간의 욕심을 전제로 한다. 아담 스미스가 말한 보이지 않는 손이 인간의 욕심과 자원의 유한함의 접점이라고 한다면, 너무 먕심만을 강조한다는 것은 무의미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유리알의 시대이지만 아직도 우리 저변의 암흑은 여전하기 때문이다.
양심경제를 지향한다는 것은 어쩌면 선언적일 수 있다. 더 심화된 빈부격차가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 결국 의식적이고, 상호규제적인 장치를 만들어내어 우리의 경제에 삽입하는 것, 그것이 미래 기업을 위한 장치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러한 의미에서 사회적 경제라는 말이 맞는 말이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책을 정리한다. 물론 이 단어를 다른 단어로 대체하는 생각을 하고는 있지만 말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1013/pimg_7958791881292282.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