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슬람 은행에는 이자가 없다
해리스 이르판 지음, 강찬구 옮김 / 처음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경제
서평] 이슬람 은행에는 이자가 없다 - 떠오르는 이슬람 금융과 샤리아가 말하는 것
이슬람 은행은 우리에게 베일에 가려진 존재처럼 보여져 있다. 우리에게는 중동의 돈줄 정도로만 알려진
그들은 머나먼 낯선 존재인 것처럼 느껴지지만 지금 이슬람 은행은 새로운 금융의 강자로 떠오르고 있다. 이슬람 은행이 추구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들이 세계 금융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먼저 이슬람 은행이 기존 서구 은행과 가장 다른 점은 라바라고 하는 이자가 없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들의 성문법인 샤리아에서 약한 자를 가장 괴롭히는 이자를 받는 자들은 벌을 받을 것이라 강조하고, 강하게 금지를 시켰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금융학의 입장에서 이자를 인정하지 않는 이슬람 금융이 운영이 될 것인가 하는 의문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슬람 율법이 낯선 우리에게는 샤리아는 배교자들에게 가차없이
가해지는 형벌 정도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개신교들은 배교적인 이미지를 앞세워 이슬람의 악마적인 형벌의 원흉으로 샤리아를 보고 있다.
저자도 밝히고 있지만 샤리아의 원칙은 징계가 아니라 용서이다. 그러나 잘못된 편견은 서로를 선글래스로 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슬람 금융의 핵심은 라바를 금지하는 샤리아의 준수와 그러한 개념을
실현하는 채권인 수쿡의 활용이다. 사실 이러한 이슬람 은행은 19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낙후된 이슬람 세계의 대부역할 정도만 수행하는 정도로
생각되었다. 이것은 돈의 본질에 대한 문제를 생각하는 질문이다. 사실 이자라고 하는 속성은 현대 자본의 문제를 만들어내는 가장 큰 문제이다.
가장 선진적인 금융을 만들어냈다는 서구의 금융들이 이러한 속성 때문에 현대 사회의 가장 큰 위험을 만들어낸 시점에서 이슬람 은행의 등장은 새롭게
느껴지기가지 한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이슬람 은행이 불사의 사막 저편의 한낱 아지랭이 처럼
보여지던 것이 서구금융의 새로운 파트너로 등장한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서구 은행과의 제휴때문이었다.
처음 이슬람 은행에 관심을 보인 것은 영국계의 HSBC였다. 다양한
중동의 자산들에 대한 투자와 현물을 기반으로 하는 펀드 모집을 HSBC가 맡으면서 이자라는 부분을 만들지 않고 서구은행과의 연결을 시도하면서
현대적인 이슬람 금융은 시작된다.
사실 저자도 말하고 있지만 매우 중요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돈의
본질이 교환의 기능임에도 이자라는 속성 때문에 비축의 개념이 등장하고 결국 자본의 착취라는 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지금의 금융이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이슬람 금융은 수쿡이라는 이슬람 채권을 통해 미래가치를 표시한 현물의 자산을 기반으로 금융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 현물 자신에
반영된 미래가치를 표시한 채권을 활용하기 때문에 이자가 없지만 실제적인 기능은 다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속성때문에 서구금융과 말만 이자가 없다고 말할 뿐이지 같은
것이 아니냐라고 하는 논쟁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정작 중요한 것은 금융의 기능이 무엇인가 하는 질문이다. 서구의 금융기관이 자신들조차 이해하기
어렵고 상품을 설계하면서 금융의 위기를 만들어냈지만 정작 피해를 보는 것은 일반 국민이 되는 이유는 실물경제를 기반한 금융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서브프라임 사태를 보면서 부실채권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이 자기 증식을 통해 부실이 부실을 키워내는 모습을 만들어낸 것처럼 말이다.
결국 금융의 방향을 어떻게 정할 것인지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저자는 말하고 있지는 않지만 서구 금융의 모태가 된 지중해 금융의
잔인성과 약한 이를 착취하지 말라는 샤리아에 의거한 이슬람 금융의 방향은 전혀 다르게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이슬람 금융의 획기적 발전을 가져온 것은 도이치뱅크와
사우디의 이름난 가문인 빈라덴가의 만남때문이다. 사우디의 거대 프로젝트에 도이치뱅크가 관련을 하면서 빈라덴가의 자산관리를 맡게 되었고,
실물자산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계약(무라바하)를 만들고 이것을 금융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손실 방지라고 하는 개념을 살린 타와루크까지
연결시킨 와드시스템의 탄생이 결정적이 되었다. 샤리아를 준수하면서도 서구의 스와프기능까지 살린 와드상품은 이슬람 자금을 집중시키는 힘을 가지게
되었고 도이치뱅크가 이슬람에서 승승장구하는 결과를 만들었다.
이러한 기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금융기관 사이에 맺어지는 샤리아를
준수하겠다는 상호보증시스템이다. 물론 이슬람 내부에서조차 이것이 말로만 라바를 말하고 있지 않지 결국 같은 것이 아니냐는 반론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금융기관 스스로의 윤리 준수노력과 실물자산을 기반으로 하는 기초적인 계약의 진행은 결국 금융기관의 건전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판단이며, 핸대 금융의 새로운 돌파구로까지 생각하고 있다. 돈의 흐름을 통해 벌어지는 세계의 반에 대한 모습을 느껴볼 수 있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이책을 읽으면서 우리는 너무 이슬람에 대해 모르는 게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사실 IS 등의 기사를 통해 이슬람의 폭력적인 모습만 보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그들의 원칙 내부에는 약한 자를 돕는 다는 기본
원칙이 있음을 보면서 다시금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작년 이슬람 금융이 한국에 투자하겠다는 의견이 들어왔을 때 많은
사람들의 반대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대부분이 테러잔체에 대한 지원을 하는 기관이라는 이유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전적으로 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사실이며, 오사바 빈라덴의 사촌인 빈라덴가와 도이치뱅크가 함께 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알 수 있는 것이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 중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런 시점에서 더 눈여겨 볼 것은 이슬람 금융이라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이다. 세계 평화와 선한 이웃의 동반자가 되어야 할 한국이
이슬람에 대해 더 공부를 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한 책이라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