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승자의 본질 - 세계적 투자자들이 공유하는 성공 사업가의 4가지 핵심
앤서니 K. 찬 외 지음, 김인수 옮김 / 와이즈베리 / 2013년 7월
평점 :
절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813/pimg_795879188885604.jpg)
[기업 경영] 승자의 본질 - 세계적 투자자들이 공유하는 성공 사업가의 4가지 핵심가치
포춘이 선정한 500대 기업의 창업자와 경영자들의 공통점과 사업주기에 따른 전략과 지혜를 풀어쓴 책이다. 이 책은 성공사업가의 4가지 기질, 즉 가슴(hearts), 두뇌(smart), 배짱(guts), 행운(luck)가 기업성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4가지 기질을 택한 이유는 뛰어난 사업가 기질을 가지고 있는 집단의 표본을 통해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성이기 때문이다.
먼저 뜨거운 가슴은 목표와 열정을 만들고, 희생과 근면의 삶으로 나타나는 것이라 말하고 있다. 목표와 열정이 있는 사름은 기회를 향해 끊임없는 추구를 하게 된다. 그래서 일관된 목표의식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그리고 희생과 근면은 기본적인 사랑이 전제되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자신의 직업과 일에 대한 사랑이 있는 사람이 뜨거운 가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여기에다 하나 더 추구할 것은 작은 뉘앙스이다. 이것은 남과 차별화를 만드는 작은 차이를 말하는데 이 작은 차이가 성공을 좌우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렇게 세가지의 특성이 뜨거운 가슴을 가진 기업가의 모습이다. 이러한 기업가의 가슴은 순간의 욕정과 다르다. 욕정이라고 하는 것은 순간마다 변화하는 욕정이지만 뜨거운 가슴이 추구하는 목표는 일관되게 추구하는 목표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표를 조직에서 실현시키기 위해 간단하면서 명료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사업적 두뇌를 소유한 기업가의 모습이다. 이것인 일반적인 지식과는 다르다. IQ가 높은 사람이 사업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사업적 두뇌는 학문과 경험, 그리고 대인관계, 창의성이 조화된 두뇌를 말한다. 여기서 학문적 뇌는 자신의 일을 체계화하고 단순화시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것을 잘하기 위해서 계속적인 일지를 써나감으로서 항상 자신의 길을 제대로 가고 있는지 체크하는 능력을 키우는 일이다. 또한 업무 리스트를 작성함으로서 결과물보다는 투입요소를 체크하여 집중하는 것과 회의를 효율적이고 짧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험적 뇌는 숱한 시행착오로부터 얻어지는 지식을 말한다. 이것을 잘 파악하는 방법은 어떤 행위의 전후 3분을 체크해봄으로서 어떤 변화의 패턴을 발견하게 되는 3분규칙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새로운 패턴이 발견되었을 때 대처의 방법을 고민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일시정지의 힘을 발견해야 한다. 대인관계를 두뇌에 넣는 이유는 학습의 연장선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사람들의 관계 속에서 사람들의 반응을 직감하는 능력을 키우고, 관계의 우선순위를 선택하는 능력과 재능을 계발하는 기회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사업적 두뇌를 키우는 사람은 비판적 대화에 대비하는 능력과 자신만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법, 외적보상보다는 내적 보상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아는 능력인 것이다.
세번째로 배짱에 대한 능력은 다음과 같다. 배짱은 세가지 단계가 있는데 시작하는 배짱과 인내하는 배짱, 진화하는 배짱의 단계이다. 처음 임무의 시작에서 용기는 매우 중요하다. 성공한 사업가의 7%가 아무 준비없이 사업을 시작했다고 한다. 이것은 처음 시작하는 용기가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 다음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지속할 수 있는 인내의 배짱이 필요한 것이다. 끈기와 오뚜기 같은 근성이 필요한 것이다. 다음 진화의 단계는 변화된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배짱을 말한다. 많은 기업이 좋은 아이템을 가지고 있다가도 이 단계에서 쓰러진 예가 많다. 중요한 것은 부자냐 왕이냐의 딜레마라고 부르는 갈림길에서 실패를 수용할 용기가 있는가이다.
가장 큰 배짱은 진화의 배짱이지만 매우 소수에 불과한 것을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 행운과 관련한 능력은 행운을 만드는 태도와 관계성의 능력이다. 겸손함과 지적 호기심, 낙천주의가 행운을 부르는 태도이다. 그리고 다른 사람에 대한 긍정성, 진정성, 개방성, 관대함을 가지는 것이 좋은 관계성을 만드는 핵심이다. 행운을 부르는 사업가들은 한 순간의 행동을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라 온전하며, 구조적이며, 상황적인 행동에서 유발되는 것이다. 실패해도 나쁘지 않다는 것을 받다들이는 것에서 이러한 행운은 찾아오게 된다.
비지니스는 설립, 규모변경, 확장이라는 3가지 성장곡선을 가지고 있다. 단계별로 필요한 사업가의 특성은 조금씩 다르다. 설립기에는 창업자적인 리더, 규모변경시에는 스케줄러의 스타일을 갖는 리더, 확장기에는 익스텐더형 리더가 필요하다. 때로는 아이크노클리스트(형식파괴자)가 필요할 때도 있다. 그러나 이책은 위의 4가지 특성이 모두 필요하며 자신이 어떤 측면이 강한지를 체크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의의 4가지 능력인 HSGL를 파악하는 EAT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자신이 업종별, 상황별 측면에서 어떤 능력을 발휘할 수 이는지를 체크해보는 방법이다. 비젼 발견하는 방법과 지혜선언문을 만드는 방법은 조직 활성화 교육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승자의 본질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성공하는 사람들의 특성이다. 이러한 특성을 조직에 어떻게 실현하고 구체화할 수 있는 지 알려주고 있는 교본인 것이다. 경영자의 능력에 대해 새롭게 파악하는 방법이라 신선하게 다가오는 측면과 단순하지만 예리한 분석이라 더 재미있었던 것 같다. 경영을 준비하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책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