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워야 사람이다 - 고전으로부터 배운다 한국국학진흥원 교양총서 오래된 질문을 다시 던지다 4
윤천근 지음,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 글항아리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현들은 왜 하나같이 부끄러움을 말하는가? [恥 부끄러워야 사람이다]



앎이 실천이 되고, 먹고 살 길이 되며, 백성을 교화하는 것이 됨은 모두 부끄러움을 아는데서 시작된다. 성현들은 자기성찰을 통해 삶의 나아갈 길을 밝히고자 했던 것이다.


지식인의 부끄러움을 우리에게 가장 잘 보여주었던 사람은 시인 윤동주이다. 그는 시대의 아픔을 부끄러움으로 표현하고 있다. 한전 부끄럼 없는 삶을 살아야겠다고 말하는 그의 시는 오늘 우리에게도 귀감이 되고 있다. 윤동주시인은 지식인의 역할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이다. 시대의 아픔을 부끄러움으로 느껴야 한다는 것이다. 

부끄러움이 왜 지식인의 중요 덕목이 될 수 있는가? 그것은 부끄러움은 나와 세상의 잘못을 판단하는 성찰의 도구이기때문이다. 우리는 바름의 목표를 가지고 살려고 하지만 욕심으로 인해 세상과 분리되는 삶을 살게 된다. 이러한 삶에서 부끄러움은 세상과의 분리된 삶을 반성하고 외면적으로나 내면적으로 통합의 인격을 바라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지식인은 단지 머리 속에 많은 것을 담은 사람이 아닌 것이다. 진정 세상을 바라보는 통찰력과 함께 합일의 정신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우리가 지식이 아닌 지혜를 가져야 하는 이유이며 성찰이 없는 지식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것이다. 

이책은 이러한 지식의 위험성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특히 동양고전의 다양한 이야기를 통해 성현들이 왜 부끄러움을 말하고 있는 지를 얘기하면서 지식인이 나아갈 바를 생각하고 있다. 공자와 맹자, 정호, 정이, 주자, 이퇴계, 남명, 이율곡, 김시습의 원문과 해석을 통해 현대의 지식인들에게 생각해보게 한다. 

동양고전의 해석들이 대부분 저자들의 생각을 정리하거나 전집의 해석을 주로 하는데 비해 이책은 성현들의 일관된 생각인 부끄러움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동양고전을 바라보려는 시도는 매우 재미있는 시도라 생각한다. 그것은 물론 성현들이 좋아하는 주제이기도 하겠지만 현대인에게 매우 필요한 주제라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시대의 화두 중 하나가 부끄러움을 상실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대에 가지는 부끄러움의 의미는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삶의 의미를 생각해보려 하는 것이다.




이책을 통해 생각해보는 것은 왜 서양의 학문은 합리주의를 지향하는데 비해 동양의 학문은 통합과 합일의 정신을 강조하게 된 것일까 하는 점이다. 서양의 정신이 매우 커다른 인류문명의 진보를 가져왔으며 우리에게 물질적 풍요를 가져온 것은 사실이지만 상대적인 파괴를 통해 생산된 풍요는 소외된 사람들을 만들어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새로운 사회를 보는 사람들은 다시 동양의 지혜를 통해 합일과 새로운 방향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이 시대를 살아가면서 어떤 부끄러움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진정 부끄럼없이 하늘을 바라 볼 수 있는 삶을 살고 있는가 생각해보면서 삶을 바라보는 합일의 정신을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