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범하라, 그리고 비범하라 - 장자.외편 ㅣ 새로 쓰는 장자 2
차경남 지음 / 미다스북스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답답한 세상에 외치는 장자의 통렬한 외침! [평범하라, 그리고 비범하라]
큰 지혜는 한가하고 너그러우나 작은 지혜는 사소한 것을 따지려 든다는 장자 외편의 해석을 통해 도의 깨달음에 대해 정제된 목소리지만 강렬한 메세지를 들려준다.
외편의 첫 이야기는 글로 진리를 담아낼 수 없다는 것이다. 황제와 수레를 만드는 장인과의 대화를 통해 귄위에 대한 해체와 허위의식을 풍자하고 있다. 우리가 생각해야 하는 것은 문명의 진리를 담아내는가 하는 문제이다. 문명은 인위적인 요소를 전제한다. 그래서 문명은 인간소외를 만들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해 장자는 자신의 본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지적한다. 이것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어떤 것이라고 말한다.
장자는 지나친 인의의 강조가 박제화된 진리를 만든다고 비판한다. 천지와 더불어 영원한 자유를 누릴 것을 말하며 그것이 진정한 도의 삶이라고 얘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이것을 "도를 얻는 무궁의 문을 넘어서는 것"이라고 말한다. 문명은 원심력의 에너지를 가지는 것이다. 이것은 무엇인가 빨아들이려 하고 물질적 풍요를 만들어가지만 정신적 공허를 만들게 된다. 그러나 구심력인 자연의 힘은 존재의 근원으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이며 우리에게 휴식과 평화, 화해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이러한 무위의 삶을 사는 것이 도를 추구하는 삶인 것이다.
군중에 이끌려 뇌동하지말고 흐르는 물과 같은 무위의 삶을 통해 "세상과 갈등이 없는 커다란 하나됨에 함께 하는 것"이다. 무위의 삶은 자연과 하나되는 삶이며, 하루 하루를 덜어내는 삶인 것이다. 우리가 학문은 지식의 축적을 목표로 하지만 도는 자신을 덜어내는 삶이다. 우리가 종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의 방법으로 신을 찾으려 하기 때문에 진정한 신의 모습은 찾을 수 없는 것이다. 자신을 버리고 자연과 합일되는 삶을 통해 신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이다.
장자는 이러한 진리의 추구를 곤륜산에서 돌아온 황제가 잃어버린 검은 진주를 찾는 것에 비유한다. 곤륜산이라는 진리의 세계로 돌아온 황제가 진리를 잃어버렸지만 지혜의 왕, 눈이 밝은 자, 말을 잘 하는 자를 보냇으나 결국 찾지 못한다. 그러나 어리석다 생각되는 상망이 검은 진주를 찾았구나라고 말한다. 이것이 장자의 화법이다. 망(忘)이라는 말을 통해 무심에서 진리를 찾을 수 있음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인간의 관행에 대한 어리석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그렇다고 루소처럼 자연을 상정하지는 않는다. 루소는 자연을 인간과 상반된 것으로 상정하고 있어 자연으로 돌아가라는 그의 이야기는 원시로 가자는 말이지만 장자의 자연은 도를 도이게 하는 원리인 것이다. 진정한 진리의 삶을 추구하는 것, 자연의 순리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도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삶은 위해 자신의 에고를 내려놓고, 일체의 언설을 넘어서려 노력하며 한가하고 너그러운 마음을 가지라고 말한다. 이것이 호연지기의 마음인 것이다. 예수처럼 궁극의 진리를 추구하지만 장자는 우주의 부분이며 우주와 합일되는 것이 진정한 도인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다. 이러한 진리의 삶을 추구하는 것, 그것이 진정한 도를 추구하는 것이라 장자는 이 시대에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책은 장자의 실행 편이라 할 수 있는 것 같다. 많은 장자 해설서가 있지만 쉬우면서도 잘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한 것이 이책의 특징이다. 마치 장자의 이야기처럼 주장하지 않지만 강렬한 목소리로 다가오는 글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올바름에 대해 직시하게 하는 책이며 오늘을 사는 현대인으로 얼마나 자신에 대한 성찰이 가능하지를 생각해보게 하는 책인 것이다. 이책의 이야기를 통해 세상과의 싸움에 타협하지말고 진정한 진리추구를 위해 자신을 갈고 닦아야 함을 생각해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