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장 인간적인 인간
브라이언 크리스찬 지음, 최호영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630/pimg_795879188770854.jpg)
기계가 인간의 자리를 탐하는 시대에 전하는 메세지 [가장 인간적인 인간]
인간과 컴퓨터의 대결로 상징되는 인공지능겨루기 대회인 뢰브너 프라이즈에서 가장 인간적인 인간으로 뽑힌 브라이언 크리스찬이 생각하는 스마트 시대에 떠밀린 인간의 본성을 재발견의 의미를 던지는 책이다.
대회 이름도 낯설고 아직 우리 삶의 문제 중 마음 깊게 다가오는 주제는 아니지만 이 주제는 이미 우리의 삶의 옆에 와 있는 문제이다. 조지오월이 말했던 전체주의의 비판이 주로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이지만 지금은 SNS로 인해 만들어진 집단지성으로 오도된 새로운 형태의 전체성이 인간의 본성을 위헙하는 문제로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이 책에서 SNS의 위험성을 경고하지는 않는다. 주로 얘기하는 측면은 인간의 능력을 뛰어넘는 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 것인가하는 연장선에 말해지는 인공지능의 논의를 통해 인간의 영역이 무엇이며 이에 대한 위협은 무엇인가하는 문제이다.
![](http://postfiles5.naver.net/20120630_164/gsgreen_1341041975200t3oYc_JPEG/1069719179.jpg?type=w2)
기술의 발전을 통해 우리에게 다가 온 휴먼 3.0의 시대가 말하는 것은 인간과 기술의 융합이다. 컴퓨터가 인간의 할 일을 하면서 그동안 기계가 범접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여겨졌던 생각의 영역까지 침범을 하면서 도대체 인간존재의 의미는 무엇인가하는 생각과 인간의 우월적 지위에 대한 박탈이라는 생각이 발생하는 것이다. 마치 공상과학에서나 존재할 것 같은 일들이 점차 우리의 주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보면서 이러한 고민들은 현실적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뢰브너 프라이즈게임은 집단지성으로 표현된 컴퓨터와 사람들이 집단이 되어 심사위원들과 대화를 하면서 가장 인간적인 대화를 누가 진행했는가를 뽑는 대회다. 이 대회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와 경쟁에서 탈락하는 모습을 통해 사람들은 이제 컴퓨터가 사람을 이길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 브라이언 크리스챤은 언어,직업,고객 서비스, 학교, 체스, 데이트, 사랑, 비디오 게임 등을 예로 들면서 사람들이 실패를 하게 만든 원인에 대해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이 책의 결론은 없다. 왜냐하면 이 주제는 영원히 인간이 만들어가야 할 주제라고 생각하는 것이 그의 생각이기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위의 예를 들면서 이렇게 만든 원인을 고찰하고 새로운 성찰을 만들어가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려 하고 있다.
그의 얘기의 주제는 이 책에서는 The Book(책)이라 말하는 데 이건 사실 책으로 번역하기 보다는 공식집이라고 번역했으면 어떠했을까 하는 생각이다. 사실 전반적인 주제와 내용은 매우 재미있고 쉬운 주제였는데 어렵게 느껴진 것은 일단 논의의 주제가 낯설운 것이 첫번째 원인이었고, 두번째 번역을 너무 어렵게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다. 특히 저자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얘기인 책에서 빠져나와라라고 말하는 것은 사실 그가 결론에서 말하는 새로운 창조의 고민을 하라는 문제와는 배치될 수 있기때문이다. 그가 얘기한 책은 일반적인 책이 아니라 이미 결론을 전제한 공식집이기 때문이다.
저자가 말하는 것은 이루 인간들이 만든 공식집에 빠져 공식이 마치 인간을 추월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공식집을 벗어나라고 말하고 있는 것이다. 좀더 큰 문제에 대한 생각을 하고 다양한 창조적인 생각들-본인은 이것을 성찰이라고 말하고 싶다-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http://postfiles16.naver.net/20120630_159/gsgreen_1341042025387TlgiJ_JPEG/%C0%FC%C3%BC%C1%D6%C0%C7.jpg?type=w2)
이책을 통해 요즘 얘기되는 집단지성의 문제를 짚고 넘어가고자 한다. 집단지성이 새로운 문명을 만들 수 있다고 SNS의 초기시대에는 열광적인 느낌이 있었다. 그러나 SNS를 통해 일어난 많은 우려점을 바라보면서 사실은 집단지성이 아니라 집단마비를 가져오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한예로 지난달 카카오톡에 한 사건이 파도타기를 한 적이 있다. 그것은 새롭게 선보인 보이스톡이 이통사와의 갈등으로 인해 내일이면 서미스중지되며 일단 다운받으면 사용할 수 있다는 메세지였다.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다운을 받은 일들이 일어났다. 본인도 그 메세지를 열건이 넘게 받으면서 처음에는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지만 곧 이통사가 만약 중지한다면 이용자의 동의나 서비스제공자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절차가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을 했다. 곧 얼마 지나지 않아 유언비어였다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처음 그 메세지를 받은 것으로부터 유언비어라는 것이 밝혀지기까지 약 12-24시간의 시간차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만약 이러한 메세지가 중대 사태였다면 더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게 되었다.
하나의 예지만 SNS의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쏠림의 문제이다. 성찰이 없는 무조건적인 정보의 전달이 가져오는 폐해인 것이다. 지금도 SNS의 많은 대화를 보고 있자면 고민없는 정보의 무분별한 유통으로 인해 상처입고 상처내는 모습을 통해 온라인의 세계에서 사라지는 것이다. 더 큰 문제를 야기하기도 하지만 말이다.
사실 집단무의식의 문제는 앞으로 우리가 심각하게 고려해봐야할 중요한 문제이다. 결국 이 책에서도 우리의 모든 시스템을 책(공식집)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인간의 창조의 영역을 스스로 파괴시켰다고 보기때문이다. 결국 공식집에 의해 만들어진 집단지성 조차도 인간이 만들어낸 창조자라는 것을 잊지말라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든 문제를 대할 때 성찰을 갖는 것이다. 결국 다시 도로 돌아가는 것일까? 세삼 인간의 본성을 고민했던 동양의 현자들이 위대해 보이는 것은 너무나도 당여한 순서일까하는 생각을 이책의 감상을 접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