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갯벌
오준규 지음 / 계간문예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Pain Earth Pain Us - 자연의 고통이 인간에게 가져다주는 아픔을 들려주는 [사라진 갯벌]보고서



사라진 갯벌이 우리에게 말해주고 있는 것은 인간의 무모한 개발로 인해 벌어진 생명파괴의 현장이며 그것이 우리하고 상관없는 머나먼 땅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의 삶의 한 부분의 아픔이라는 사실이다.


사진과 글을 함께 올린 리얼리티 전문사진가 오준규작가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서해의 새만금을 돌아 다니면서 찍은 사진들은 자연을 정복하고 말겠다는 인간의 오만이 가져온 파괴의 현장을 낱낱이 보여주고 있다. 

끝이 보이지 않은 넓은 갯벌 위에 마치 하얀 조약돌을 뿌려놓은 듯 조개의 시체인 껍데기들이 널려있고 내륙에서 떠내려온 쓰레기들이 마치 정류장인양 모여들어 쌓여있는 현장에서 이곳이 한때는 바닷가였다는 사실을 스스로 지우려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들게 한다.


조개와 개, 고기가 사라진 바닷가에 그들과 함께 인생을 나누던 사람들도 떠나게 된다. 버려진 그물과 어구들과 굴러다니는 스치로품 부구들은 한때는 고기를 잡아 돌아오던 미소와 하루의 피로를 소주 한잔으로 나누던 항구의 아름다운 정경들을 재빠르게 바꿔놓고있다. 한때는 활기참으로 넘쳐났을 어판장은 을씨년스러운 바람만이 날리우고 뒷칸의 공터에는 썩고있는 그물들이 냄새를 피우고 있다. 자연의 황폐로 바로 직격탄을 맞은 곳은 어부들이지만 그 폭탄은 나비가 되어 우리들의 옆에 어느 순간 다가올 것이다.


뼈만 남은 바닷개와 조개들이 하얗게 죽어간 무덤들에서 자연의 고통이 묻어나고 이미 뭍이 되어버린 갯벌들은 퉁퉁마디가 정복을 단행하고 있다. 몇년이 지나면 그들의 자리도 바뀔지를 아는지 더욱 극성스럽게 자라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한 구석에선 사망의 음침함에서도 악착같이 살아남은 개 한마리가 조개 시체를 ?f고 있다. 생명의 끈은 정말 악착같은지도 모르겠다. 그 생명의 끈을 한순간에 뒤집어버리는 인간의 욕심에 대한 경고를 보내고 있지만 인간들은 아무도 그 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다. 아픔은 아픔을 낳고 그 아픔은 죄가 된다. 이렇게 사라진 갯벌은 조용히 인간들에게 경고의 메세지를 보내고 있는 것이다.




새만금의 개발에 대한 경고의 메세지를 담고 있는 이 사진집은 작가 오준규가 3년여에 걸쳐 그 넓은 갯벌을 다니면서 기록한 것들이다. 새만금방조제는 차로 달려도 30분이 걸리는 정말 긴 곳이다. 이곳을 지날 때마다 생각하는 것이지만 이렇게 넓은 곳을 막을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는 것 자체가 놀라움이긴 하다. 인간의 욕심이든, 자연에 대한 무모함이든 대단한 것은 맞지만 그 반대의 문제도 또 너무 대단할 것이기에 우려를 하는 것이다.

이미 우리는 시화호를 통해 그 우려가 얼마나 큰 것인지를 깨달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만금과 시화호는 다르다는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논리로 그것을 무시했었다. 궁여지책으로 다시 조그맣게나마 바다길을 연 시화호가 가신히 숨을 쉬고 있다. 새만금의 미래가 보이는 대목이다.

현재 새만금의 수질이 하루가 다르게 악화되고있다. 그 넓은 땅의 목적이 친환경 작물의 재배란다. 현재의 조사결과는 실질적인 작물재배가 시작될 때에는 용수의 수질이 4,5급수로 전락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이다. 과연 4,5급수로 재배되는 작물이 친환경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것을 그렇게 말하고 팔 수 있는지 의심되는 바이다. 

우리는 시행착오를 해야 깨닫는다는 생각을 해본다. 하지만 새만금은 시행착오를 해놓고도 깨닫지 못하는 사태가 되었다. 인제는 저질러 놨으니 그 해결을 위해서 막대한 돈을 써야 할 것이다. 일단 수질을 적어도 3급수 이상을 확보해야한다. 이런 수질을 확보하기 위해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야 함은 기정사실이다. 




이책을 읽으면서 자연에 대한 인간의 접근은 정복의 관점에서 바라 보면 안된다는 생각을 해본다. 기독교의 창조론이 자연을 정복하라는 관점을 제공한 후로 근대의 많은 개발들이 정당한 것처럼 비추어졌었다. 그러나 창조론에서 말하는 정복은 죄악에 대한 정복을 말했던 것이며 이마져도 현대신학에서는 반성해야 한다는 것이 주된 논점이다.

이제 우리는 아픔을 돌아볼 때이다. 사라진 갯벌을 돌아보고 서해의 저녁놀을 바라보면서 감상에만 젖지말고 구체적인 아픔에 대한 해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것만이 새만금에서 죽어간 수많은 생명들의 아픔을 달래는 일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