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보는 고대사 -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한반도 고대사 이야기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박노자 교수의 한국사 읽기는 매우 독특하다. 그는 한국사 읽기에서 민족의 개념을 제거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근대 이후 생성된 민족이라는 안경을 쓰고 역사를 바라본다면 제대로된 역사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민족이라는 개념과 국가라는 근대주의 개념으로부터 시작한 역사의 해석은 보고싶은 것만 보게되는 우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삼국시대 삼국과 당, 왜의 관계를 확대해석함으로서 잘못된 해석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이미 결론이 정해진 해석의 틀이 제대로 해석을 할 수는 없다. 이러한 해석이 당과 연합한 신라가 마치 일제에 협력한 것과 비슷한 취급을 받는다던지, 고구려가 우리 역사의 원조라 해석하는 역사관 등이다. 본인도 역사해석의 관점은 문화로 해석해야 맞다는 생각이다. 그 시대 나름대로의 문화와 있는 그대로를 바라보려는 노력이 역사를 바로 보는 제일원칙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원칙에서 보면 삼국을 완성했던 신라가 물론 당의 힘을 얻어서 통일했다는 것도 가능한 해석이지만 당과의 연합을 끌어냈던 외교적 힘과 문화적 힘이 통일을 가능하게 했다는 해석이 더 맞는 해석이 될 것이다. 이 해석은 통일 후 고구려,백제 유민과 함께 당의 세력을 몰아내고 완성된 통일국가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바로 볼 수 있게해준다. 

본인은 신라가 통일을 완성하고 천년을 유지할 수 있었던 힘을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의 양자를 잘 혼합하여 새로운 문화적 힘으로 만든 융합의 힘에 있었다 생각한다. 박노자교수는 그 당시 중요한 해양세력 중의 하나인 왜에 대한 해석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한국의 일본에 대한 민족적 의식때문에 왜라는 부분을 가볍게 취급하려는 경향에 대해 우를 말하고 있다. 왜가 해양문명을 가지고 있던 나라였으며 삼국과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경쟁하면서 성장해왔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러시아인이면서 한국고대사에 관심을 가져 가야문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이름까지 한국이름으로 개명한 박노자교수가 생각하는 관점은 물론 한국역사 해석에서 아류로 취급하고 있는 것은 맞다. 그러나 제3자적 입장에서 한국에 애정을 가지고 분석하는 관점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관점을 제공한다 생각한다. 

이 책의 관점은 매우 공감하는 바이다. 단지 신라가 천년을 유지할 수 있던 힘에 대해서는 좀더 그 원동력을 해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통일신라의 많은 역사적 유물을 바라볼 때 우리는 놀랄 때가 너무 많다. 동남아의 문화적 자원, 중국의 문화자원들이 통일신라의 문화에서 발견되는 것은 왜일까? 신라의 불상에서 느껴지는 인도문명의 느낌은 우연한 것일까? 뛰어난 금속주조기술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화폐를 만들어 사용하지 않았던 것이 단지 중국화폐경제에 의존했기 때문일까? 김유신과 간통죄로 보여지는 신라의 여권경시로 해석하는 부분에 대해 여왕의 존재는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나는 신라의 천년에 숨겨진 진실이 너무 많다고 생각한다. 그 힘은 교육의 대상자가 교육을 만들었던 신라의 교육시스템(화랑)과 만장일치로 대표되는 정치시스템(화백), 상호부조로 함께 만들어가는 경제시스템(계), 국가 통합시스템으로서 필요한 부호시스템(이두)에서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힘을 통해 해양문화와 대륙문화를 적절히 혼합하고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전혀 새로운 융합문화를 만들어냈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힘이 약화된 것은 신라말기 해양세력의 성장을 위기로 느낀 중앙정부가 청해진을 멸하면서부터라 생각한다.

이러한 해석의 출발점에 좋은 예시를 보여준 박노자교수의 이 책은 꼭 한번 읽어봐야 할 책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