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인생의 이야기 행복한책읽기 작가선집 1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행복한책읽기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읽기 전에 하드한 SF소설로 분류된다는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조금은 사변적이다 싶은 생각이 들어
의아하기도 했습니다만, 전반적으로 완성도가 뛰어난 소설들입니다.

[바빌론의 탑]은 젤라즈니의 분위기가 느껴지기도 하지만, 간단한 아이디어(즉, 원통인장 지구모형이라는)와 신화, 종교를 아우르는 솜씨가 그만입니다.(사실 전 젤라즈니는 좀 지루합니다) 저같이 아둔한 사람이 반전이라면 반전이랄까..결말을 미리 예견할 정도로 플롯은 단순하긴 했지만, 디테일이 훌륭합니다.

[이해] 읽다보면 이사람은 과학도가 아니라 인문학도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인간정신의 발달단계과 언어학에 대한 이해가 탁월합니다.(이소설을 SF로 분류하게 만든 모티브가 달랑 호르몬 치료제에 의한 뇌세포 재생에 따른 이상지능발달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오히려 과학적 배경은 너무 소프트한게 아닌가 싶어요) 머리 좋다면 단순히 고차 방정식의 해를 척척 구하거나 백만자리의 파이값을 외우는 정도로만 생각하는 저하곤 차원이 틀린 인식의 세계를 보여줍니다.

[영으로 나누면] 워낙 얼렁뚱땅한 세계관을 가진 터라 근간으로 믿었던 기본원리가 무너짐에 따라오는 주인공의 상실감에 감정이입은 잘 되지 않았지만(수학자의 남편같은 반응,so what?), 아이디어는 재밌습니다.

[네 인생의 이야기] 너무 멋지고 슬프다는 말 밖에.."광선은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지를 선택하기도 전에 자신의 최종 목적지를 결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인간은 태어나기도 전에 자신의 운명을 결정해야 한다로 치환한 소설.광선은 최단거리라는 목표의식이 있지만, 인간의 삶에는 어떤 합목적성이 있는 걸까..르귄을 읽었을때처럼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더군요. 이 소설집의 백미.

[일흔두글자] 과학소설이라기 보단 판타지에 가깝긴 하나, 저도 말이 갖는 엔트로피에 대해서 종종 생각해 본적이 있는 터라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그러고 보니 최근에 영국의 과학자가 ‘체다’와 ‘암내’라고 각각 이름 붙인 치즈의 냄새를 비교측정해서 실제로 이름이 후각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였으니, 판타지만은 아니로군요.

[지옥은 신의 부재] 지하철에서 이 부분을 읽고 있는데 어떤 아저씨가 저보고 "교회 다니세요? 혹시 사역하고 계신가요?"하고 묻더군요. 아마도 종교서적을 읽고 있다고 생각했나봅니다. 신앙에 대한 블랙 유머이긴 하지만, 곱씹어볼만합니다.

[외모 지상주의에 대한 소고 : 다큐멘터리] 정치적 올바르기 위해 인간 본연의 욕구를 제한하는것은 과연 정치적으로 올바를까하는 문제. (어딘가의 책 소개에는 현대사회의 외모 지상주의를 풍자했다고 하던데, 그것과는 좀 거리가 있는듯)

p.s 판형이 맘에 들어요. 두꺼워도 무겁지도 않고..얼마전에 읽은 거의 모든 것의 역사는 들고 다니면서 읽느라 팔 떨어지는 줄 알았거든요. 

p.s. 스포일러가 될까봐 거두절미했더니 리뷰가 무슨 말인지..통...(-_-;;)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여우 2005-10-15 21: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선물 받아놓고 두께가 있어서 겁이 나 못 읽고 있답니다.
물론, 구미가 상당히 당기지만요.
가을 바쁜 철이 지나야 읽을 듯한데 님의 리뷰에 도움을 받는군요

Fox in the snow 2005-10-17 0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또다른 여우님..많이 바쁘신가봐요. 추수철이니..ㅎㅎ..이런 책을 선물받으셨다니, 복 받으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