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요술 호리병박의 비밀 작은거인 11
장톈이 지음, 김택규 옮김, 왕지성 그림 / 국민서관 / 2007년 2월
평점 :
절판


전래동화의 묘미는 현실에서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이 일어난다는 데 있다.

 착한 일을 한 사람은 그에 응하는 보상을 받고, 나쁜 일은 한 사람은 그에 응하는 처벌을 받는다는 권선징악의 교훈이 이야기 속에 잘 녹아나 있다. 그러면서 아이들은 착한 일을 하면 언젠가는 보답을 받는다는, 내가 간절히 원하는 소원이 이루어질 거라는 작은 희망을 가지며 자라난다. 흥부에게 제비가 박씨를 물어주어 부자로 만들어줬고, 정직한 나뭇꾼이 금도끼 은도끼를 얻고, 위기에 처한 콩쥐에게 두꺼비와 황소가 도움을 준 것처럼 나에게도 그러 기적이 일어났으면 좋겠다는, 천진난만한 희망을 말이다.

 이 이야기의 시작도 그렇다. 중국의 전래동화에 자주 등장하는 호리병박이 현재 초등학생인 왕바오의 눈앞에 나타나 니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들어준다고 한다. 왕바오는 특별히 착하지도, 가난하지도, 고생을 많이 하지도 않는, 친구들과 싸우고, 공부하기도 싫어하고, 할머니에게 반항하기도 하는 그야말로 평범한 초등학생이다. 그런 왕바오에게 소원을 들어주는 요술 호리병박이 나타났으니 그야말로 난리가 난다. 먹고 싶은 게 있으면 바로바로 눈앞에 나타나 배고픔을 해결해주고, 갖고 싶은 게 있으면 손 안에 쥐어주니 그야말로 세상에서 남부러울 게 없다. 여기까지는 여느 동화책과 다르지 않다. 그래서 그저 그런 이야기일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왕바오는 어느 순간부터 요술 호리병박이 싫어지기 시작한다. 왕바오의 속마음을 귀신처럼 읽고 그대로 실행해주는 호리병박의 요술이 싫어졌기 때문이다. 모형비행기가 만들고 싶은데 완성된 모형비행기를 가져다주고, 도서관에 기증한 책을 읽고 싶다고 왕바오의 가방에 넣어주고, 장기를 두고 있는데 상대방의 장기를 없애 왕바오가 이기게 해준다. 그러면서 자기가 모든 것을 해줄 테니 무엇인가를 하려고 공부하고, 생각하고. 만들고, 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왕바오에게 말한다. 공부하기는 싫어하지만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만들기를 좋아하는 왕바오로선 기가 찰 노릇. 학교에서 칠 시험에서 호리병박의 도움이 받아야 하니 호리병박을 함부로 없앨 생각도 하지 못한다. 하지만 호리병박이 가져온 그 모든 것들이 원래의 주인이 있는 것들이었고, 시험지 답안도 다른 친구의 시험지를 훔쳐서 내준 것이라는 것을 알고선 호리병박에 대한 미련을 버린다. 하지만 호리병박은 부서지지도 불에 타지도 않으니 정말 미칠 노릇!

 너무 소원을 잘 들어줘서 곤란한 호리병박. 실제로 생각했던 일이 이루어지면 왕바오는 지레 놀라 호리병박을 나무라지만 호리병박은 도리어 네가 원해서 이루어진 거라며 왕바오의 이중성을 꼬집는다. 왕바오는 소원하던 일들이 이루어져 놀라긴 하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서는 은근히 호리병박의 요술의 힘에 기대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평생 공부하지 않고, 학교에 가지도 않고, 친구도 만나지 않고, 혼자 살면서 아무것도 안하고 산다는 건 생각만 해도 끔찍했던 모양이다. 결국 곁에 있는 친구와 가족이 가장 소중하고, 평범하게 사는 것이 행복한 삶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요술 호리병박의 요술이 그렇게 쓸모없는 것만은 아니었던 거다.

 초등학교 3, 4학년 정도가 읽으면 좋을 것 같다. 그 이상 아이들은 유치하게 생각하지 않을까? 우리와 같은 문화권의 중국 아이들의 생활도 우리 아이들과 다르지 않다는 사실에 아이들이 술술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오랫동안 접하지 못했던 동화책에 빠져 있던 며칠간의 경험과 왕바오와 요술 호리병박의 아슬아슬한 줄다리기와 심리전이 흥미로웠다. 그리고 전래동화의 소재를 현실에 적용하여 사건들이 벌어진다는 것도 신선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