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강 1명 신청] 저는 아나키스트적인 마인드가 강합니다. 게다가 하승우 작가님의 저서인 <아나키즘>이란 책을 가지고 있어서 여러모로 공감하는 바가 컸습니다. 저또한 평화를 사랑하기에 비폭력적으로 삶의 갖가지문제들에 저항하기가 쉽지 않은게 현실이더군요. 작가님의 이야기도 듣고 대화할 시간을 가져보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작가와의만남님의 "<비굴의 시대> 박노자 - 홍세화 대담"

[1인 신청] 박노자 님의 책을 자세히 읽어본 적은 없으나, 외국인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 모습을 이렇게 해석하고 받아들였구나하고 흥미롭게 생각해왔었습니다. 박노자 님과 홍세화 님께서는 구체적으로 사회현안과 다양한 이슈거리를 통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계시는지 자뭇 궁금합니다. 또한 여러모로 두 분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같이 질의응답을 가질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작가와의만남님의 "<뜨거운 한입> 저자와의 만남"

[1명신청] 가뜩이나 추운 날씨에 온몸도 춥고 마음도 춥고 이래저래 솔로라서 추운 시기에 따스한 인간의 온정만으로도 배불리 채워졌으면 좋겠습니다. 훈훈한 쉐프님과 도란도란 이야깃거리로 마음만이라도 포만감을 가져보고싶어서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작가와의만남님의 "<내리막 세상에서 일하는 노마드를 위한 안내서> 북토크"

[1명] 한국 사회에서는 하고 싶은 일을 하기가 쉽지가 않아요. 천천히 고민하고 생각할 여유가 주어지지 않기 때문이죠. 저또한 백수이기에 내가 하고픈 일을 해야 하는지, 아니면 내가 하기 싫은 일을 해야하는게 더 올바르고 행복한 길인지 판단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TVN드라마 <미생>을 보면서도 공감할 수가 없더군요.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다들 그 드라마에 공감할때, 저는 그 드라마에 맞장구도 칠 수 없는 현실에서 고독을 씹으며 나홀로 외톨이로 살아가고 있지요. 노동에서 소외되는 삶이 어쩐지를 너무나 뼛속깊이 체감 중이라 제가 30년이 다 되도록 제 밥벌이를 못하는 골방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제게 작가님들의 경험있는 조언들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진정 `내 일`에 관해서 속깊은 대화를 나누며 소통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전출처 : 작가와의만남님의 "<변증법의 낮잠> 저자 강연회"

[1명신청] 저는 원래 사회학을 엄청 좋아라합니다. 유명한 사회학자인 `지그문트 바우만`씨 팬이기도한 사회학도랍니다. 저또한사회학과 관련해서 공부했던 적이 있어요. 분명 자본주의와 정치는 악어와 악어새 같이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일겁니다. 서동진 작가님은 거기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가지시고 계실지, 어떤식으로 이야기를 풀어주실지 궁금합니다. 또한 실제로 작가님과 좀더 심도있게 좀더 다양한 대화를 나눌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