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투 때문에 말투 덕분에 - 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사례로 가득한
이오타 다쓰나리 지음, 백운숙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책요약]
1.자신을 깎아내리는 것이 겸손은 아니다
- 상대와 대화할때 자신을 낮추는 건 공격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난 교회가서 그런 언니들 많이 느꼈는데!ㅎㅎ)

2.속마음을 적당히 내비쳐야 매력적으로 느낀다
- 겉과 속이 같거나 겉과 속이 한결같은 시람은 주변 인맥도 늘어나고 믿음직하다는 평판을 얻는다. 반면,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은 이성에게 좋은 매력을 어필할 순 있어도 좋은 인연이 다가가지 않게 만든다. 속을 알기 쉬운 사람에겐 자신의 속마음을 털어놓기 쉽다.

3.업무 지시가 전달되지 못한 것은 상대 탓이 아니다
<업무지시의 핵심은 명확하게 전달하기>
- 업무를 맡길 때는 맡길 부분과 직접 처리할 부분을 확실히 나누어 지시해야 한다. 또한 맡길 부분 중에서 구체적으로 요청할 부분과 온전히 맡길 부분도 명확히 나누면 업무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하루 1시간, 8주에 끝내는 책쓰기 - 예비 저자를 위한 출간 가이드북
최영원 지음 / 파지트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쓰기 초보자한텐 책을 쓰는 방법과 관련해서는 입문하기 좋으나, 본문에 좀큰 폰트사이즈의 인용표시가 너무 많아서 몰입이 잘 안됩니다. 가독성도 좋은 컨텐츠인건 맞는데, 드문드문 이해가 가서 읽은것 같지 않네요. 하여튼 저작권을 넘 의식하신건지 몰라도, 인용표시를 꼭 본문에 배치해야하나싶네요.
더 이상 책쓰기책은 구매말고, 이젠 실질적으로 책쓰기로 돌입해야겠어요.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한비자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35
권오경 지음, 유대수 그림, 손영운 감수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1. 한비자의 실제이름?
- 성은 한씨 고요, 이름은 비자예요. ㅋㅋ사실 그건 순뻥이지용ㅋㅋ 다들 중국식 이름이 <-자>로 끝나면 진짜 누구 이름 이영자씨 등으로 불리우는 아는데, 아니래요. <한비>로 불리우고 <-자>는 선생님,스승님 같은 뜻이래요. 수많은 공자, 노자, 장자 같으신분들도 번역하면 공선생, 노선생, 장선생 되시겠네요.

2.동양의 마키아벨라
- 흔히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한비자 책과 유사점이 많다고 알려져있죠. 이미 기존에 서울대인문 시리즈 만화책으로도 나와있으니 찾아보세요. 단지, 차이점이 있다면 냉혈하면서 하드웨어적인 이미지가 마키아벨리쪽이 강해요. 그나마 한비자책은 소프트한 이미지 같아요.

3.인간은 천성 악한걸까, 이기적인걸까
- 한비자는 인간은 성악설, 태어날때부터 악하다고 봤지만 그것보단 이기적으로 태어났다고 믿었다네요. 마치 애덤 스미스의 푸줏간 에피소드가 생각날만큼 비슷하네요.

4.유가vs.법가
-유가는 일명 공자와 맹자파, 법가는 한비자 그외파!
- 유가와 법가의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유가는 옛날엔 이래서저래서 좋았다고 떠드는 착한 선비 놀음하고, 법가는 지금이 어느땐데 전쟁과 살육이 일어나는 시기에 여유롭게 과거엔 참 좋았다고 신선놀음 같은 소릴 할 때냐!
- 유가: 전쟁나도 총칼 안들고, 대화타협 OK?
/법가: 당장 총칼 들고 방어하든지 공격하든지 둘중하나야!

5.동물에 대한 관찰력
- 이 책에서 알려준건 동물에 대한 관찰력이었죠. 여태껏 잊고 있었죠. 개미가 있는 곳엔 물이 있으니 개미가 모이는 곳을 파면 물을 얻을 수 있고 벌꿀을 발견하고 벌꿀을 쫓아가면 벌꿀(!?)로 허기를 채울 수 있으니까요.

✅️덧: 재미가 쏠쏠하지만, 좀 따분할 수 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이스 4 메이킹 스토리 & 대본집
마진원 지음 / 에이엠스토리(amStory)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기대한거랑 다름ㅠㅠ..대본집이 6화까지만 나와있어서 동방민 캐릭터 분석을 깊이 해볼 기회를 못 가지겠음.ㅠㅠ 허나 디테일한 사진, 작가진들과 배우들의 노고가 절실히 느껴지는 벽돌책임.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 법구경 서울대 선정 만화 인문고전 50선 45
전재성 글, 마정원 그림, 손영운 기획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법구경의 인용부분 글씨 색상이 잘 보이지 않아. 배경색과 헷갈려서 오독하기 쉽고, 박스칸 글씨색도 박스색의 배경색의 글씨색의 유사해서 가독성이 떨어져서 내용이해를 잘 못했음. 하난 확실한건, 법구경은 불교적인 시라는 점이라는 거다! 한쪽 마음을 울리게 만드는 시의 구절과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