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5개 인간형"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 교수 -- '한국 사회의 세대차' 강연에서 발췌 정리했습니다.)

기성세대와 사이버 신 인류간의 세대간 갈등 뿐만아니라 같은 세대내에서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전통주 의적 보수형'에서 '물질주의적 신봉건형'에 이르는 5가지 인간형이 공존하고 있다고 지적.

1. 전통주의적 보수형

전통적인 가치관과 사회질서를 중시하고 사회문제에 관심 이 높은 편이며 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지킬 것이 있다는 믿는다.
이들은 또 가족중심적 가치를 가지면서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을 위한 희생 과 의무를 당연시하며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이 다소 경직돼 다른 것을 쉽게 받아들 이지 못하는 특성을 갖고있다.
이런 유형은 50-60대에서 주로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2. 공동체적 개방형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그 울타리안 에서 이질적인 것에 대해 개방적이며, 권위나 전통, 상하서열 등에는 큰 가치를 두 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다른 세대에 비해 20-30대에서 주류를 이루고 있다.

3.  물질주의적 신(新)봉건형

전통적 가치를 존중하지만 성공하기 위해서는 집 안, 학벌, 연줄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인생의 성공과 사람의 가치는 돈으로 판 단이 가능하다고 본다.
멋있게 살기위해 돈이 필요하며 대박과 한탕은 돈을 버는 일반적 방법이라고 생 각하지만 자신이외의 공공의 문제 즉 사회나 정치문제에는 관심이 없는 편이다.
황 교수는 로또열풍, 10억만들기 등이 화두가 되면서 물질주의적 신봉건형 인간 형이 지난 1년 사이에 전세대에 걸쳐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4. 개인주의적 보보스형

무엇이든 자신이 중심이 돼야 하며 자신이 원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나 상황은 중요하지 않게 여기는 특징을 보인다.
자신만의 개성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끊임없이 자기를 변화, 발전시키고자 하지 만 다른 사람은 경쟁상대일 뿐 협력대상이 되기가 쉽지 않다.
이들은 물질적 풍요 못지않게 사회적으로도 인정받고 인기를 얻는 직업을 갖고 싶어한다는 점에서 물질주의적 신봉건형과는 구별된다.

황 교수는 공동체적 개방형과 물질주의적 신봉건형, 개인주의적 보보스형이 20- 30대의 기본적 성향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5. 현실주의적 동조형

기성세대에서 주로 나타나는 인간형으로 자신을 대표할만 한 뚜렷한 가치체계를 갖고있지 못하거나 뚜렷하게 표현하지 않으며 현실의 흐름에 맞춰 살아가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남들보다 못하지도 튀지도 않게 살고 싶다'는 생각을 갖고있으며 지난 20년간 한국사회를 만들고 기여해온 인간형으로 평가됐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진/우맘 2004-04-28 1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저는, 5번형 인간 같은데요.

가을산 2004-04-28 1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집을 보자면, 나는 '공동체적 개방형'에 가까운 것 같고, 남편은 '개인주의적 보보스형'에 가까운 것 같다. 시아버님은 지극히 '전통주의적 보수형'이시고, 어머님은 '전통주의적 보수형과 물질주의적 신봉건형'이 섞여 있으신 것 같다. 친정부모님은 '개인주의적 보보스형' 성향이 강하다.
그런데 내가 '공동체적 개방형'을 표방할 수 있는 것은 어찌 보면 남편이 '개인주의적 보보스형'으로 반대 쪽 균형을 잡아주는 덕인 것도 같다.
부부간의 성향이 달라서 내가 하고싶은 것의 반도 못한다고 늘 툴툴대고, 같은 이상을 가지고 활동하는 부부가 부러운 경우도 많지만, 나의 대책없는 일벌이기에 이정도 브레이크는 다행이라 여겨야 할지도 모른다.

-- 그래도 이번에 용천에 갈 기회를 포기한 건 너무 속상했다.

조선인 2004-04-28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용천에 구호활동 가실뻔 했나보죠? 아마 부군이 말린 건 위험할까봐 걱정해서겠죠. ^^;;

호랑녀 2004-04-29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구하는 건 2번, 양심적으로 생각해보면 좀 쪽팔리지만 ^^ 1번에 가까운 것 같아요.
다만 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지켜야 할 것! 이라는 게, 호주제나 가부장제 이런 건 아니구요, 아직도 돈보다는 명예와 자존심이 더 소중하다 뭐 이런 건데요, 이게 가장 시대에 뒤떨어진 거라고 하더군요.
최근들어 4번을 추구하고자 몸부림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