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서부터 허블 망원경 같은 것으로 밤하늘을 맘껏 보는 것이 소원이었다.
근데 몇일 전부터 구글 earth의 새 버젼을 다운 받으면 google sky 가 된다.
밤하늘 곳곳을 허블 망원경 같은 이미지로 볼 수 있고, 풍치(?)가 좋은 곳은 해상도가 더 높다.
구글 만세~~~~!!!!  (/^o^)/  

오후에 갈무리한 몇 장의 사진들이다. (참고로, 알라딘 사진이 작게 보이는 거 아시죠? 실재 사진은 더 크답니다. 붕붕.... )

우리가 익히 보아온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이다.


그런데 이정도 해상도의 안드로메다 사진은 구할 수 없었다. ^^
 



풍선 성운(?)의 모습 bubble nebulla



이름 없는 성운



별이 총총 ^^  



 



수십억 광년 밖의 은하들의 모습이라고 한다. 중력 렌즈를 이용해서 찍었다는데...
수십억 광년 밖이라는 것은, 즉 수십억년 전의 우주의 모습이네요. 





NGC 3184 라는 이름의 은하



오리온의 칼집 부근의 성운



말머리 성운



pinwheel galaxy(바람개비 은하)라는 이름을 가진 은하. 지구를 향해 얼짱각도로 놓였다. ^^
바탕화면으로 영입했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07-08-27 2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넘 멋져요!!!
님이 올리신 자료를 보면서 소름이 돋았다는거 아세요?

예전에(몇 년전) 꿈을 꿨는데
바로 올리신 사진들과 비스한 꿈을 꿨답미다.
정말 신비로왔고, 현실적이기까지 했다지요.

우주의 심오함에 조용히 침묵합니다.

가을산 2007-08-27 22:52   좋아요 0 | URL
nabi님도 아이들과 함께 직접 찾아보세요.
여기 없는 사진들도 아주 많답니다.

라주미힌 2007-08-27 2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장엄해요... 밤하늘과 지구를 인터넷으로 보게 하다니...
앞으로는 인간의 장기와 세포, 아니면 분자단위로 물질들을 보여줄 것 같네요 ㅎㅎㅎ

가을산 2007-08-27 23:00   좋아요 0 | URL
다른 건 몰라도 이 기능은 정말 구글 만세입니다.

오오오... 라주미힌님, 세포 하나의 속만 들여다봐도 우주 하나가 나올 수 있을 것 같네요.

가을산 2007-08-27 2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우, 우주 여행을 너무 많이 했더니 멀미가 나네요. 이제 쉬어야겠어요. ^^

Mephistopheles 2007-08-28 0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그래도 가장 인상깊은 건 말머리 성운..^^

가을산 2007-08-28 08:54   좋아요 0 | URL
네. 아주 고전적인 성운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