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에서는 삶의 주요 전환기에 인생학교에 가는 것이 문화로 정착돼 있다. 언제든 멈춰 서서 자신이 지금 어디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지를 점검한다. 일종의 다지기다. 중요한 선택 전에 나에게 시간적 여유를 주고, 내가 내 선택의 주인이 되게 한다. 그러면 자존감이 생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다른 친구들과 더불어 인생을 설계하고, 그속에서 연대의식을 키운다. 그룬트비가 170 년 전에 뿌린 교육철학의씨앗은 오늘날 덴마크인들 사이에 단단한 문화로 뿌리내리고 꽃을 피웠다. - P218

3대 정신으로 근면,자조, 협동을 내세웠으나 한계가 분명했다. 군사독재와 깨어 있는 시민은 함께 갈 수 없었다. 새마을운동에는 위에서 아래로 전달되는 ‘잘살아보세‘와 근면하게 일하자는 지시는 있었지만 정치적 자유와 비판, 연대는 철저히 제한되었다. 비판의 자유를 인정하지 않으니 ‘스스로 즐겁게‘ 가 없고, 평등이라는 가치를 불온시하니 ‘더불어‘도 없었다. 그 후유증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 P300

개인이 자존감을 갖기 위해서는 사회가 개인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개인이 우리 속에 함께하고 있다는 것을인정해야 한다. 나 혼자만 행복해서는 결코 행복해질 수 없으며 너와우리가 행복해야 나도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연대의식이다. 연대의식이 있으면 ‘나 홀로 탈출‘이 아니라 ‘함께‘ 살길을 찾는다. - P303

교실이 바뀌면 사회가 바뀐다. 사회가 바뀌지 않으면 교실을 바꾸는일이 너무 힘들다. 교실의 혁신과 사회의 혁신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야 한다. 행복사회가 되면 학생들이 교실에 들어가기가 부담스럽지 않고 즐겁고, 어른이 되어 동창회에 나가기가 부담스럽지 않고 즐겁다.
이제 지금, 나의 차례다. 나와 당신이 새 씨앗을 뿌릴 때다. 우리 서로 먼 훗날 웃으며 이렇게 말하면 얼마나 좋겠는가.
"새로운 바람이 왔다. 그때는 몰랐지만." - P3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래서 당신은 이 일터에서 행복합니까?"
"네. 행복합니다."
"행복한지 아닌지는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나요?"
"아침에 출근할 때 내 발걸음이 가벼운지, 회사로 향하는 마음이 즐거운지가 척도가 아닐까 싶습니다. 출근길에 ‘빨리 가서 일하고 싶다는 생각이 드느냐가 중요합니다. 나는 이 회사에 출근하기 싫다고느낄 때가 1년에 아주아주 적게 있습니다. 하하." - P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 이야기 - 숲속 모험, 2024 볼로냐 라가치상 오페라 프리마 스페셜 멘션, 2025 프랑스 소시에르상 수상작
최연주 지음 / 엣눈북스(atnoonbooks)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손으로 하는 것 -그림그리기,뜨게질 같은-이 젬병이라 섣불리 시도하지 않지만 이상하게 그림은 그려보고 싶어서 책을 사보곤 했었다. 그러다 깨닫게 됐다. 내가 그림을 못그리는 것은 관찰력이 없어서란 걸. 간단한 물건을 그리려해도 그 모습을 제대로 떠올릴 수가 없었다. 그랬는데 이 책을 본 순간 그림을 따라 그려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역시나 그리기는 너무 어렵다. 당연한 이야기다. 모가 웃는 별을 찾을 수 있어서 좋았다. 나는 해피엔딩이 좋다. 삶이 늘 그랬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철학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뭔가 내 삶에 설명이 필요하다는 건데... 그만큼 내 삶이 괴롭고 비참하다는 건가? 슬프다.

니체는 "자신의 시대를 극복" 해야만 했다. 그리고 퇴폐한시대의 본능에 맞서 싸우는 것 역시 마찬가지로 퇴폐일 뿐이다.
정확히 말해 철학이란, 삶에 대해 스스로 의문을 던지는 것이며,
그러한 한에서 철학은 퇴폐의 징후다. 니체는 건강한 삶이란 기쁨에 찬 삶이며, 고통과  괴로움이 기쁨을 능가하는 곳에서 삶은  병든다고, 곧 퇴폐한다고 말한다. 기쁨에 찬 삶에는어떠한 설명도 필요하지 않다. 그것은 그 자체로 정당화된다.오직 괴로움이  우세한 곳에서만 "설명"이 필요하며, 사람들은 설명(골 철학)이  제시된 곳에서  삶이  비참하게 굴러가는 이유를 추론할 것이다. - P1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개의 철학 지도 - 나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인문학적 밑그림
김선희 지음 / 지식너머 / 2014년 7월
평점 :
품절


앎과 실천에 대한 책으로 이해한다. 앎에 대한 바른 기준이 있어야하고 그래서 철학지도가 필요하다. 깨달았으면 반드시 실천이 따라야 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