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학자의 열대 인문여행 - 야만과 지상낙원이라는 편견에 갇힌 열대의 진짜 모습을 만나다, 2024 세종도서
이영민 지음 / 아날로그(글담)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열대의 진짜 모습을 만나고 싶다면,

일단 '지리학자의 열대 인문여행' 책부터


열대 지역에 대한 책을 이토록 재미있게 읽을 줄은 몰랐다. 그럴 수 있던 이유는 열대 지역은 밟아보지 못한 미지의 땅이라서 열대 세계에 대한 왕성한 호기심 때문에, 저자의 풍부한 지리학적 지식에다 몸소 경험한 여행 이야기가 잘 버무려졌기 때문인 것 같다. 함께 두루 여행을 다녀온 느낌이랄까. 그래서 막연하게 여겨졌던 열대 지역 여행에 도전장을 내밀 동기부여가 되었다.



생소한 열대 지역의 풍토와 문화를 알려주는 사진 자료가 많아서 읽는 데 도움이 되었다. 열대 지역의 여러 나라 위치를 하나하나 짚어주어 지리 감각도 키울 수 있었다. (세계지도를 펼쳐 두고 읽으면 좋다.)

소개한 나라의 여행지 곳곳의 풍경 사진을 통해 그곳을 미리 맛보는 즐거움도 컸다. 열대의 다양한 모습을 만날 수 있도록 고심한 노력이 보였다.








이 책은 3부로 나뉜다.

1부는 열대에 대한 '미개의 땅, 지상낙원'의 잘못된 이미지를 바로잡아 준다. 같은 열대라 해도 조금씩 다른 기후의 다양성과 대륙 간의 열대 지역을 자세히 알려 준다.

2부는 풍요롭고 아름다운 열대 지역을 알려준다. 보르네오섬, 아마존, 빅토리아호, 세렝게티와 응고롱고로, 열대 고산지대, 열대의 바다 휴양지를 소개한다.

3부는 인류 탄생의 기원지 아프리카에 대해서,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을 다양하게 보여 준다. 예를 들어 유럽 대항해 시대 이후로 식민지 제국주의가 열대에 비극을 몰고 온 점들. 그로 인한 열대 지역의 문화(종교) 섞임 현상이 일어난 점. 본래 있던 문화와 타국가의 문화를 흡수하며 독특한 문화가 생겨났다. 그리고 우리나라 역사 속의 열대 이야기도 나온다. '하늘 아래 최초'의 세계여행자인 홍어 중계상 문순득. 그는 2백여 년 전 예상치 못한 풍랑을 만나 열대를 경험하고 왔다. 그의 특별한 경험은 여전히 열대를 특별한 경험의 세계로 이어지고 있다.

내가 저절로 집중하여 읽은 부분은 아름답고 풍요로운 열대 지역을 소개한 2부다. 예를 들어 우리와 가장 가까운 열대 우림은 보르네오섬이다. 보트를 타고 열대 우림 속 맹그로브 숲을 둘러보고 밤엔 허공을 수놓는 반딧불이를 경관을 볼 수 있다니. 상상만으로도 신비한 풍경이 그려진다. 또한 그 섬에서 '숲의 사람'인 오랑우탄과 마주할 시간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아마존, 빅토리아호, 세렝게티와 응고롱고로, 열대 고산지대 이야기도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이 책의 미덕은 열대의 삶을 그들의 입장에서 바라본 점이 아닌가 싶다. 인간이 살기 척박한 땅 열대 우림의 독특한 자연환경에서는 정착 지향적 생계농업이 발달할 수 없었고, 이에 따라 넓은 지역을 아우르는 강력한 중앙집권적 권력도 뿌리내리기 어려웠던 점을 생각해 봐야 한다 것. 문명이 발달하지 못한 까닭이 있다고 해서 열대 지역 사람들이 '암흑'의 시기를 견디며 불행한 삶을 살아온 것일까? 저자가 던진 이 질문 앞에 나 또한 여러 생각이 고였다. 비록 문명과는 동떨어져 있지만 집단의 규모를 적절하게 제한하는 방식으로 살아온 그들의 삶을 얕잡아 볼 수 없는 까닭이다.

그들은 자연환경과의 조화, 공동체 생존을 추구하는 평등의 정신 등이 그 바탕에 깔려 있으며, 오늘날 아프리카에도 이어져 '우분투'라고 하는 공동체 지향적 정신의 뿌리를 이루고 있다는 대목에 공감했다. 저자가 바라본 '우분투'는 공동체 정신과 지속가능성이라는 지표로 이야기할 때 선진국보다 풍요로운 곳일 수 있다는 믿음. 지금의 기후 환경 위기, 열대 우림의 환경 파괴 측면에서도 접근해야 할 덕목으로 다가왔다.



열대에 속한 나라들이 식민제국주의 열강에 의해 오랜 세월 식민지가 되어 (지금까지도) 종족 간 분쟁과 극빈층의 비율이 높은 국가가 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저자는 열대 지역에 처해 있는 정치, 경제적 후진성의 이유가 '열대'라는 기후 조건 때문이라는 건 잘못된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식민제국주의 역사와 그 잔재에 의한 현대 정치세력들의 부패와 갈등에 있는 것이지 결코 '열대' 그 자연적 조건이나 현지인의 인간 본연의 특성이 때문이 아니라고.

지리학자가 들려주는 열대 지역 이야기를 통해 우리도 모르게 잠재된 지상낙원의 이미지, 그들은 뭔가 야만스럽다는 편견을 걷어낼 기회가 생겼다. 적어도 나에게 열대 지역 여행을 꿈꿔 보게 했고, 점점 파괴되고 있는 열대 지역의 현실도 돌아보게 했다. 인문여행 책답게 세상을 좀 더 깊고 넓게 볼 안목을 살피어 준 책이어서 흥미롭게 읽었다.

* 도서를 제공받아 쓴 글입니다.


#열대이야기 #지리학자의열대인문여행 #이영민 #아날로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