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에 붙이는 주석
제바스티안 하프너 지음, 안인희 옮김 / 돌베개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인물 히틀러는 악인, 유대인 학살자,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킨 인물 정도로 여긴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런 고정관념에서 벗어나는 사실과 다른 히틀러 저작에서 한번도 밝혀지지 않은 사실들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분석한다.

히틀러 이전의 위인들이 이루지 못한, 앞으로도 일어나기 힘든, 성공을 기적같이 이룬 점을 낱낱이 파헤친다.

히틀러라는 인물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오늘날의 세계는 그가 만든 작품이라고 매우 설득력있게 주장한다. 히틀러가 저질러 놓지 않았다면, 이스라엘이라는 국가도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고, 제국주의도 더 오래 유지됐을 거라고 말한다.

세계사와 독일의 역사에 무지해서 읽는데 버겨웠으나, 두께가 얇고, 간결한 문체 덕에 완독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작지만 무게가 나가는 책!

 

* 책속 밑줄 긋기

 

불황에서 경제적 번영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없이 임금과 물가가 완전히 안정되었다는 것. - p. 66

1938년에는 유럽에서 가장 막강한 군대와 공군력을 보유한 국가가 되었다. - p. 68

경제적인 면과 군사적인 면에서 기적을 행하는 사람임을 증명 p. 69

거의 민족 전체를 자신의 지지자로 만드는데 10년밖에 걸리지 않았다. - p. 75

 

히틀러는 단 한 번도 더 강하거나 질긴 적을 상대로 성공을 쟁취한 적이 없었다. - p. 100

히틀러는 대중을 열광시키긴 했지만 절대로 그를 통해 상류층의 지지를 얻으려 하지는 않았다. - p. 111

히틀러의 이런 광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오늘날까지도 합리적으로 납득할 만한 설명이 없다. - p. 192

=> 이에 대한 설명을 내가 덧붙여보자면, 이 책에는 히틀러가 노스트라다무스 예언서에 나온 ‘hister’ 라는 단어를 보고 자신의 이름과 비슷했기에 자신과 동일시하여 행동했다는 것에 대한 내용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히틀러의 비합리적인 행동이 예언서에 대한 맹신때문이 아닐까? 하지만 히틀러가 예언서를 매번 들고 다니면서 그 내용대로 매번 재현하려했다는 증거도 없다. 그러므로 이것도 타당하지 않은 것 같다?

히틀러주의 이론 - “모든 세계사적 사건은 종족의 자기보존 충동의 표현에 지나지 않는다.” - p. 136

언젠가 최고 인종이 지배 민족이 되어세계를 지배해야 한다. - p.138

 

 

* 정리는 덜되었지만 기억해 둘 내용

 

처음과 다르게 마지막에는 패배에 대한 배신으로 자기 나라를 열등한 민족으로 규정하여, 가망성 없는 공격을 지시하여 같은 민족을 죽게 만들었다는 것.

히틀러의 마지막 공격으로 인해 동독과 서독으로 갈라지는 비극을 만들고 자살했다는 것.

1차 목표(세계정복)2차 목표(유대인 학살) 중에 1차 목표가 좌절되니 2차 목표에 집중했다는 것.

언제나 자살을 입에 달고 살면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것.

자기 생애에 모든 것을 이루어야 한다는 강박관념 속에서 살았다는 것.

그에게는 대를 이어 체제를 이어가는 생각은 하지 않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5-09-14 22:2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만화가 김태권의 <히틀러의 성공시대>도 재미있고 읽어볼 만합니다. 이언 커쇼와 요아힘 페스트의 히틀러 평전 같은 책들을 참고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히틀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아주 도움이 되는 책입니다. 열등감에 빠졌던 젊은 히틀러의 모습을 보게 되면 일베에 빠진 넷우익이 떠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