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호모 스크리벤스 : 글 쓸 줄 아는 사람이 되라
김지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건이나 현상의 맥을 짚지 못하고 단지 그 자체만 들여다보는 것은 똑똑한 바보들이 흔히 저지르는 오류다. 사건에 묻혀 있으면 당연히 맥락을 보지 못한다. 사실 자체는 이해했으면서도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모르는 것이다. 물론 사실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하나의 사실 그 자체만으로는 큰 의미를 갖기 어렵다. 그리고 그 정도의 단순한 정보는 누구라도 얻을 수 있다. - p.93

 

느낌을 드러내는 글쓰기 훈련을 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은 감상문이다. 감정을 표현해야 할 대상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글로 자신의 느낌을 드러낼 수 있으려면 우선 감정을 느낄 구체적인 대상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봄에 대한 느낌을 글로 쓴다고 해보자. 감정을 자극하기에 충분한 주제이긴 하지만 너무 추상적이다. 어떻게 시작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하지만 봄 풍경을 그린 그림을 보고 그에 대한 느낌을 쓴다고 하면 훨씬 수월하다. 눈앞에 보이는 것이 있으니 거기서부터 느낌을 풀어나가면 되기 때문이다. - p.166

 

자신이 감상한 대상에 대해 떠오르는 느낌이 있다면 일단 거기에 집중하라. 그리고 그 느낌을 시작점으로 어떤 느낌과 단상이 떠오른다면 놓치지 말고 따라가면서 그 느낌을 글로 기록하면 된다. 그저 '좋다' '싫다'에 머물지 말고 무엇이라도 느껴지는 것이 있다면 최대한 자세히 써 보는 것이 중요하다. 행복한 기분을 글로 쓸 때 스스로 행복해질 수 있는 것처럼 감상문을 쓸 때도 자기의 느낌을 최대한 증폭시킬 필요가 있다. - p.167

 

긍정의 힘이 강력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이야기다. 하지만 정막 긍정의 힘을 어떻게 길러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무심하다. 긍정의 힘을 기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에게 따뜻한 격려와 든든한 지지를 심어주는 것, 바로 자기 자신과의 대화다. 자신과 대화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마음속으로 대화하는 것이 가장 쉬운 단계라면 두 번째는 실제로 자기에게 하고 싶은 말을 입으로 소리 내어 말하는 셀프 토크, 그리고 마지막이 사적인 글쓰기다. 이 중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은 글쓰기다. - p.179

 

아이디어는 생각하면 할수록 발전한다. 어느 날 저절로 생기는 것이 결코 아니다. 아무리 머릿속에 전구가 켜지듯 불현듯 떠오른 아이디어라고 해도 궁리나느 전원이 었었다면 저절로 불이 들어올 리 만무하다. 목욕탕에 앉아서 부력의 원리를 깨닫고 '유레카!'를 외치며 벌거벗은 채로 뛰쳐나갔다는 고대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 조차 그 이전부터 이론을 공부하고 현상에 대해 끊임없이 궁리한 결과 마침 그 순간 아이디어가 떠오른 것이지, 아이디어가 제 발로 찾아온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 p.18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 천재가 된 홍대리 천재가 된 홍대리
이지성.정회일 지음 / 다산라이프 / 2011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슬럼프 극복 방법 세 가지 : 멘토를 만난다, 동지를 만난다, 도서관에 간다 - p.102

 

돌 하나를 놓아서 징거다리를 만들듯 오늘 하루 책을 읽으면 100일 동안 꾸준히 읽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미 경험했다. 강 건너만 바라보고 있으면 언제까지 바라보기만 할 뿐 죽는 날까지는 건너지 못할 것이다. - p.127

 

이것저것 읽다가 어느 한 곳에 관심이 생기는 때가 오거든요. 처음엔 한 점에서 시작해서 수평적인 책 읽기를 하다가 어느 순간, 작가든 주제든 자신의 흥미를 느끼는 것이라면 깊이 파고 들어가게 되죠. 독서법이 알파벳 T랑 생김새가 닮았잖아요.

 

이렇게 어느 정도 파다보면 자연스럽게 궁금증이 생기잖아요. 그럼 다른 분야는 책들로 넘어가 또 하나의 T를 만드는거죠. 하지만 나중에 자연스럽게 머릿속에서 통섭이 일어나 이어지는 부분이 생기고 그때 두 개의 T가 연결되면서 H형 독서가 되는거죠.

 

몇 개의 T가 섞이고 모이면 X형이 되죠. 수많은 X들이 모여 어떤 주제에 대해서도 자유자재로 넘나들며 사유하게 되면 달인의 경지라도 봐도 돼요. - p.137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부터 두 가지의 의미에서 진짜 공부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첫 번째는 자신을 성장시키는 독서는 공부처럼 해야 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책을 읽는 사람들을 만나면 인생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거예요. - p.154

 

지금 여기, 발가락 사이로 모래의 부드러운 감촉을 느끼는 것이 전부인듯, 책을 읽는 순간에는 오직 책을 읽을 뿐이었다. 깊은 산 속에서 몰래 비장의 무술을 수련하고 득도한 사람처럼 홍 대리는 가슴을 활짝 펴고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맞았다. - p.168

 

슬럼프를 만나 당황하고 있다면 : 힘이 되는 사람을 만나라, 이제 막 독서를 시작한 사람을 돕는다, 시련을 극복한 사람들의 책을 읽는다, 동기부여가 되는 글귀를 집안 여지저기에 붙여둔다, 역할모델이 되는 사람의 사진을 매일 본다, 마음에 드는 저자에게 메일을 보낸다. - p.186

 

책을 읽더라도 자신의 분야에 접목하는 것을 잊지 않았다. 다음 단계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생각한 후 항상 독서 목표를 세우고 책을 읽었다. 무작정 뻗어나가는 독서가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이미 경험을 통해 알고 있었다. 폭넓게 읽되 중심 맥을 이어나가는 것이 중요했다. - p.194

 

독서는 저라는 인간과 제 인생 자체를 혁명적으로 바꿔놓았어요. 내 꿈이 있는데 생계 때문에, 부모님의 반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마음에도 없는 길을 가야만 했던 부조리함, 꿈과 현실의 어마어마한 괴리감에 시달리며 하루하루를 견뎌내는 것이 고작이었던 저를, 이제는 꿈을 현실로 만들어내는 사람으로 변화시켰으니까요. 저는 지금도 확신하고 있어요. 독서는 꿈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강력한 수단이라고, 제대로 된 독서를 하는 사람은 누구나 다른 사람의 인생이 아닌 자신만의 꿈을 살 수 있다고! - p.201

 

독서를 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삶과 배움과 일과 독서는 하나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하나의 씨앗이 자라 열매를 맺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어린 나무가 단번에 열매를 맺는 일이 없듯 첫 열매를 맺기 위해선 그만큼의 시간과 노고가 필요할 것이다. 그런데도 자신은 그 모든 과정을 생각하지 않고 오직 열매만을 보았던 적이 있었다. 실력이 하늘에서 뚝 떨어지기라도 할 것처럼, 또한 많은 경험을 하고 긴 시간을 보냈다고 저절로 실력자가 되는 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 p.229

 

우선은 동서양을 막록하고 우리 시대 성공한 CEO들의 책 100권이죠. 그리고 사무엘 스마일즈의 '자조론' 같은 정통 자기계발 책들 100권, 흔하게 볼 수 있는 가벼운 자기계발 책들은 물론 아니죠. 그리고 마지막으로 리더십을 기르는 책 165권, 여기엔 위대한 인물들을 다룬 위인전과 자서전, 평전이 포함되죠. 지금까지의 평범한 독서와는 질적으로 다른 슈퍼 리딩이죠. 어때요? 말만 들어도 설레죠? - p.2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