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로부터의 통신 - 금석문으로 한국 고대사 읽기
한국역사연구회고대사분과 엮음 / 푸른역사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는 한국 고대사를 연구할 때 빼놓을 수 없지만, 그 속에 그려진 시대보다 훨씬 뒤인 고려 시대에 쓰였다는 한계가 뚜렷합니다. 이와 달리 고대에 만들어진 금석문은 고대인들이 스스로 쓴 당대 기록입니다. 후대에 편찬된 사서에서 빠진 고대사의 빈틈을 메우는 데 큰 도움을 주는 아주 값진 자료이지요. 그러나 이 오래된 글들은 많은 것이 축소되었거나 생략되어서 오늘날 우리가 보기에는 불친절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고대인인 그들과 현대인인 우리를 둘러싼 맥락이 사뭇 다르기 때문입니다. 같은 글을 두고도 역사학자마다 해석이 엇갈리는데, 단어 하나와 글씨 하나에서 옛날에는 미처 모르던 새로운 사실이 드러나기도 하고, 그에 따라 기존 연구 결과가 뒤집히는 일도 잦습니다.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의 『고대로부터의 통신』은 <광개토왕릉비>나 <사택지적비> 같은 고대인들의 목소리를 담은 여러 금석문의 내용을 풀어내어 고대사의 일면을 보여 준 책입니다.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가 이전에 펴낸 『문답으로 엮은 한국고대사 산책』과 『삼국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가 고대사 연구의 결과물을 대중이 알기 쉽게 소개했다면, 『고대로부터의 통신』은 금석문을 연구하는 과정을 독자들에게 알려서 읽는 맛이 조금 다릅니다. 연구 과정이라고 하니까 왠지 딱딱하고 어려운 책이라고 여길지 모르겠지만, 뜻밖에도 책에 담긴 사연은 무척 흥미롭습니다. 아주 작은 단서로 고대사의 커다란 비밀을 풀어 나가는 학자들의 모습은 마치 탐정이나 수사관처럼 보입니다.


광개토왕(廣開土王, 재위 391~412) 대에 활동한 고구려의 중급 귀족인 모두루(牟頭婁)가 묻힌 무덤에는 모두루의 내력을 쓴 글이 새겨졌니다. 안타깝게도 무덤 속 글은 세월의 풍파를 견디지 못하고 많은 글씨가 지워졌습니다. 학자들은 희미하게나마 남은 글씨를 읽으며 이제는 보기 힘든 글의 전체 내용을 알아내려고 애썼습니다. 그리하여 모두루 가문의 중시조인 염모(冉牟)가 북부여 지역에서 외침을 막고 반란을 평정하는 위대한 공적을 쌓았고, 그 덕분에 모두루 가문이 번성하였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염모와 모두루는 역사책에서 이름을 찾아볼 수 없는 사람들이기에 묘지명(墓誌銘)이 없었다면, 우리는 그런 사람들이 고구려 땅에 살았다는 것조차 몰랐을 것입니다.


<포항 냉수리 신라비>의 모습(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옛 신라 땅에서 천여 년 만에 발견한 <포항 냉수리 신라비>(<영일 냉수리 신라비>)와 <울진 봉평 신라비>는 요즘으로 치면 판결문이었는데, 신라사를 공부하는 학자들에게 돌로 된 판결문은 신라 6부 체제가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엿보는 '창'이 되었습니다. 정작 두 비석을 세운 신라인들은 어떤 재물이 누구 것이며, 잘못을 저지른 이들에게 어떤 벌을 내렸다는 일 따위를 적은 공문서를 후손들이 그러한 목적으로 읽으리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겠지요. 울산 변두리에 있는 계곡으로 피서하려고 놀러 간 신라 왕실 사람들이 기념으로 남긴 낙서도 글쓴이들의 원래 의도와 달리 지금은 둘도 없이 귀중한 보물이 되었습니다.


"특히 신라시대의 각종 명문에는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는 당시 사람들의 생생한 삶의 모습이 담겨 있다. 원명과 추명만 하더라도 사훼부의 갈문왕 일족이 천전리 계곡을 찾아왔다는 단편적인 기록에 불과하지만, 그 이면에는 신라 왕실 내부의 사정을 비롯하여 신라 사회의 여러 중요한 측면들이 반영되어 있다. 6세기 전반이라는 특정한 시점에서의 갈문왕의 성격, 정치체제의 변동 양상, 왕권의 성장과 집권적 지배체제의 성립 과정 등 정치사와 관련한 주요 문제들이 바로 이 짧은 기록을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우리가 공책에 아무렇게나 끼적거린 낙서도 어쩌면 뒷날에는 현대인의 생활상을 들여다보는 사료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생각하니 기왕이면 도움이 될 만한 기록을 남겨야겠다는 엉뚱한 사명감이 갑자기 생깁니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쉽사리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이 하나 나왔습니다. 「고구려 건국설화가 모두루무덤에 묻힌 까닭은」이라는 글로 <모두루묘지명>을 설명한 여호규 교수는 고구려가 서력기원 전후에 부여를 함락했다는 이야기는 북부여를 영원히 신성한 땅으로 간직하고 싶은 5세기 고구려인들의 염원이 만든 역사 왜곡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부여가 "매우 부강하여 선대로부터 일찍이 (적에게) 파괴된 일이 없다"라고 밝힌 『위략(魏略)』을 인용한 『삼국지(三國志)』에 근거한 견해인 듯합니다(관련 자료).


하지만 『삼국사기』는 22년에 대무신왕(大武神王, 재위 18~44)이 이끈 고구려군이 괴유(怪由)의 활약으로 부여 왕 대소(帶素)를 죽이는 데에는 성공하였으나, 훈련이 잘된 부여군에 에워싸여 전멸할 위기에 빠졌다가 짙은 안개가 낀 틈을 타서 가까스로 포위를 뚫고 탈출하였다고 전합니다. 따라서 엄밀하게 말하자면, 고구려의 부여 '정벌'은 실패한 셈이지요. 『위략』과 『삼국사기』 기록이 서로 모순되지 않다고 해석할 만한 대목입니다. 『삼국사기』만 봐도 부여가 고구려보다 국력이 강하였음을 고구려인들도 인정하는데, 정말 그들이 역사를 왜곡했다면 부여를 경솔하게 공격했음을 후회하는 대무신왕의 고백까지 꾸며 냈을까 하는 의문이 남습니다(관련 자료).


책에는 거의 10년 간격으로 국보급 금석문이 나타났다는 속설이 나오는데, 재미있게도 『고대로부터의 통신』이 나온 2003년 뒤에도 새로운 비석들이 잇따라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2009년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라 비석으로 보이는 <포항 중성리비>를 발견한 데(관련 기사) 이어서 2012년에는 (위작이라는 의심도 받지만) <지안 고구려비>를 중국에서 발견하였습니다(관련 기사). 고대인들이 우리에게 보내는 통신은 아직도 이어지는 모양입니다.

- 2014년 12월 10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