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태니커 만화 백과 : 포유류 브리태니커 만화 백과 13
봄봄 스토리 글, 임해봉 그림, 신동훈 외 감수 / 미래엔아이세움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포유류의 기준은 새끼를 낳아 젖을 먹인다고만 알고 있었는데요.


오리너구리를 보니 답이 참 애매해집니다.


오리너구리는 새끼가 아닌 알을 낳는다는 것도 사실 오늘 알았습니다.


생긴건 새끼를 낳을 것 같은데 말이죠. 젖을 먹이니까요!

 

"포유류는 몸이 털로 덮여 있고, 대부분 새끼를 낳아 번식합니다.


태어난 새끼는 어미의 젖을 먹고 자라며, 폐로 숨을 쉬고, 체온을 늘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이들은 생식 방법의 특징에 따라 유태반류, 유대류, 단공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본문 중에서


 


유태반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포유류입니다. 토끼 사자같은 어미의 태반에서 자라 젖을 먹는 동물들이죠.


유대류는 어미의 배에 새끼가 자랄 주머니가 있는 동물이에요. 코알라, 캥거루등이 있어요.


단공류! 새끼가 아닌 알을 낳지만 새끼가 어미젖을 먹고 자란다고 해요.


오리너구리, 바늘두더지등이 있다고 하네요.


바늘두더지도 알을 낳는구나!

 

단공류는 포유류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동물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새끼가 아닌 알을 낳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동물의 세계는 정말 신기합니다. 알면 알수록 신기해요.

 

이밖에도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담겨있는데요.


사람의 몸에는 '흔적 기관'이 있다고 합니다.


지금은 퇴화하여 사용하지 않는 기관입니다.


꼬리뼈, 막창자꼬리가 있다고 하죠.


예전엔 어떤 역할을 했을까요? 궁금해집니다.


 


포유류에게만 속눈썹이 있다고 해요!


외부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눈물을 흘려 눈을 깨끗하게 유지한다고 합니다.


북극곰의 피부는 검은색이라는 것은 많이 알려져있는데요.


털이 이중이라는 사실은 거의 모르고 있을 것 같아요.


투명에 가까운 색으로 짧은 털과 긴 털이 이중으로 되어있어서 체온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해요.

 

초식동물은 좋아하는 먹이에 따라서 나눗잎이나 나뭇가지를 먹는 동물과


땅에 난 풀이나 새싹을 뜯어 먹는 동물로 나뉜다고 합니다.


물론 두 종류를 모두 먹는 코끼리같은 동물도 있긴하지만요.


다른 먹이를 먹어서 불필요한 먹이 경쟁을 피하고 조화롭게 살아갈 수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하네요.


 


표범, 재규어, 치타를 구분하실 수 있나요?


다 똑같아 보이는데 자세히 보면 점무늬가 다르네요.


아이가 궁금해한다면 슬쩍 책을 옆에 놔두면 아주 잘 볼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